Sei sulla pagina 1di 70

KOREA FIRE SAFETY KFS 210-2019

STANDARDS

KFS 210
위험물저장시설기준
STANDARD ON STORAGE FACILITIES
OF HAZARDOUS MATERIALS
- KFS 210 -

KFS 210, 위험물저장시설기준

○ 제 정 경 과

『KFS-210, 위험물저장시설기준』은 2003년 3월에 제정되었으며, 2019년 9월 9일 한국


화재안전 기준(KFS)위원회의 전문위원회의 심의․의결 후, 2019년 11월 25일 총괄위원
회의에서 최종 심의․의결을 거쳐 개정되었다.

KFS-210, 2019년판의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위험물안전관리법 개정 사항 반영 및 탱크


통기장치, 탱크 위험물 주입시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책 등에 대하여 API 2000, NFPA
30 관련 기준을 반영하였다.

○ 본 기준에 관한 문의

본 기준에 관한 의견이나 상세한 문의는 한국화재보험협회 위험관리지원센터 (전화 :


(02) 3780-0324; FAX. (02) 3780-0329)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제정일자 : 2003년 3월 24일

1차 개정일자 : 2019년 12월 11일

○ 제 정 자 : 한국화재보험협회 이사장
- KFS 210 -

○ 총괄위원

위 원 장 김 원 철 한국화재보험협회 상 무 이 사
위 원 이 윤 근 소방청 과 장
이 형 섭 안전보건공단 소 장
최 효 진 전기안전공사 처 장
허 영 택 가스안전공사 기 술 이 사
김 인 태 한방유비스 소 장
박 재 성 숭실사이버대학교 교 수
하 동 명 세명대학교 교 수
최 용 민 한화손해보험 상 무
이 필 수 메리츠화재 고 문
최 종 호 FM Global 일 본 지점 장
장 영 환 한국화재보험협회 팀 장
김 광 섭 한국화재보험협회 지 부 장
백 운 용 한국화재보험협회 부 장
간 사 사 공 람 한국화재보험협회 팀 장

○ 전문위원

위 원 장 박 상 용 한국화재보험협회 차 장
위 원 방 현 정 남동소방서 소 방 관
이 광 호 한미정밀화학 팀 장
김 환 진 KB손해보험 과 장
이 재 훈 한국화재보험협회 과 장
김 성 민 한국화재보험협회 과 장
간 사 유 동 량 한국화재보험협회 과 장
- KFS 210 -

목 차

제1장 총 칙 ··································································································································· 4
1.1 적용범위 ·························································································································································· 4
1.2 목적 ·································································································································································· 4

제2장 용어의 정의 ······················································································································· 4

제3장 일반사항 ····························································································································· 6


3.1 위험물의 분류 ················································································································································ 6
3.2 탱크의 용량 ···················································································································································· 9
3.3 위험물 탱크의 분류 ···································································································································· 11
3.4 안전거리 ························································································································································ 15
3.5 보유공지 ························································································································································ 15
3.6 표지 및 게시판 ············································································································································ 15
3.7 채광, 조명 및 환기설비 ····························································································································· 16
3.8 배출설비 ························································································································································ 17
3.9 피뢰설비 ························································································································································ 17
3.10 배관 ······························································································································································ 17
3.11 펌프설비 ······················································································································································ 19
3.12 금속의 사용제한 ········································································································································ 20
3.13 불활성 가스 등의 봉입장치 등 ·············································································································· 20

제4장 옥내저장소 ······················································································································· 21


4.1 안전거리 ························································································································································ 21
4.2 보유공지 ························································································································································ 22
4.3 표지 및 게시판 ············································································································································ 23
4.4 구조 및 설비 ················································································································································ 23
4.5 다층건물인 저장창고의 구조 등 ·············································································································· 25
4.6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부분이 있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옥내저장소의 구조 및 설비 ················ 25
4.7 지정과산화물의 옥내저장소 ······················································································································ 26
4.8 알킬알루미늄 등의 옥내저장소 ················································································································ 29

제5장 옥외탱크저장소 ··············································································································· 29


5.1 안전거리 ························································································································································ 29
5.2 보유공지 ························································································································································ 29
5.3 표지 및 게시판 ············································································································································ 30
5.4 탱크의 외부구조 등 ···································································································································· 30
5.5 탱크의 내진 및 내풍압구조 ······················································································································ 31
5.6 탱크의 이상내압방출구조 ·························································································································· 31
5.7 탱크의 통기장치 ·········································································································································· 31
5.8 압력탱크의 안전장치 ·································································································································· 33

1
- KFS 210 -

5.9 탱크의 자동계량장치 ·································································································································· 33


5.10 탱크의 주입구 등 ······································································································································ 33
5.11 펌프설비 ······················································································································································ 35
5.12 배관 및 배수관 ·········································································································································· 35
5.13 방유제 ·························································································································································· 35
5.14 금수성 위험물 ············································································································································ 37
5.15 이황화탄소 ·················································································································································· 37

제6장 옥내탱크저장소 ··············································································································· 37


6.1 탱크 전용실 ·················································································································································· 37
6.2 탱크 등의 간격 ············································································································································ 38
6.3 탱크의 용량 ·················································································································································· 39
6.4 통기장치 ························································································································································ 39
6.5 펌프설비 ························································································································································ 39
6.6 표지 및 게시판 등 ······································································································································ 40

제7장 지하탱크저장소 ··············································································································· 40


7.1 탱크 ································································································································································ 40
7.2 탱크의 매설 ·················································································································································· 42
7.3 탱크의 구조 등 ············································································································································ 42
7.4 계량장치 ························································································································································ 43
7.5 배관 ································································································································································ 43
7.6 누유검사관 ···················································································································································· 44
7.7 맨홀 ································································································································································ 44
7.8 펌프설비 ························································································································································ 44
7.9 통기관 및 안전장치 ···································································································································· 45
7.10 표지 및 게시판 등 ···································································································································· 45

제8장 간이탱크저장소 ··············································································································· 46


8.1 설치장소 ························································································································································ 46
8.2 탱크의 수 및 용량 ······································································································································ 46
8.3 탱크의 설치방법 ·········································································································································· 46
8.4 탱크의 구조 ·················································································································································· 46
8.5 통기장치 ························································································································································ 46
8.6 주유설비 ························································································································································ 47
8.7 표지 및 게시판 ············································································································································ 47

제9장 이동탱크저장소 ··············································································································· 47


9.1 상치장소 ························································································································································ 47
9.2 탱크의 구조 ·················································································································································· 47
9.3 탱크의 밸브 및 폐쇄장치 ·························································································································· 49
9.4 금속의 사용제한 ·········································································································································· 49
9.5 결합금속구 등 ·············································································································································· 50
9.6 표지 및 게시판 ············································································································································ 50

2
- KFS 210 -

9.7 펌프설비 ························································································································································ 50

제10장 옥외저장소 ····················································································································· 51


10.1 설치장소 ······················································································································································ 51
10.2 보유공지 ······················································································································································ 52
10.3 표지 및 게시판 ·········································································································································· 52
10.4 선반 등 구조물 ·········································································································································· 52

제11장 암반탱크저장소 ············································································································· 53


11.1 암반탱크 등 ················································································································································ 53
11.2 지하수위 관측공의 설치 ·························································································································· 53
11.3 계량장치 ······················································································································································ 53
11.4 배수시설 ······················································································································································ 53
11.5 펌프설비 ······················································································································································ 53
11.6 표지 및 게시판 등 ···································································································································· 53

제12장 방화시설 ························································································································· 54


12.1 방화시설 ······················································································································································ 54

제13장 참고문헌 ························································································································· 54

부 록
부록 1 위험물저장소의 안전거리의 단축기준 ··························································································· 55
부록 2 인접한 2개의 옥외탱크간 이격거리에 관한 NFPA 30의 기준 ················································ 58
부록 3 탱크 통기량 설계에 관한 NFPA 30의 기준 ················································································ 62

3
- KFS 210 -

위험물저장시설기준

제1장 총 칙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사업장이나 일반 건축물 등에서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물품으로서 산화성 고체, 가
연성 고체,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인화성 액체, 자기반응성 물질 및 산화성 액체 등의 위험물
을 저장하는 위험물 저장소에 적용한다.

(2) 이 기준은 선박이나 부선 안에 고정시킨 선박탱크저장시설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3) 이 기준은 위험물을 일시적으로 저장 또는 체류시키는 취급탱크시설 등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1.2 목적
이 기준은 위험물 저장시설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나 폭발 등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 발
생 시 인명 및 재산피해 또는 환경오염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장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 용어의 정의

2.1 간이탱크저장시설(Handy Tank Storage Facilities) 간이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시설.

2.2 경사도(Slope, Pitch) 수평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의 도수이며, 밑변에 대한 높이의 비로 표시함.

2.3 내화구조(Fire Proof Construction; Fire Resisting Construction)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


진 구조로서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의 것.

[참고] 내화구조란 철근콘크리트 구조ㆍ벽돌구조ㆍ석조ㆍ콘크리트 블록 구조 등과 같이 화재에도 쉽게 연소하


지 않으며,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대개는 당해 방화구획 내에서 진화되며, 최종단계에서 수리하
여 재 사용할 수 있는 것.

2.4 배출설비(Drainage Systems) 가연성 액체를 제조․저장․취급하는 지역에서 가연성 액체의 유출


물을 당해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장소에 설치된 원격 저유설비 등에 유도하기 위한 시설로
서 배수로, 방출관, 유분리장치 등이 있음.

2.5 불연재료(Non-Combustible Materials) 불에 타지 않는 성능을 가진 건축재료로서 국토교통부령


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재료 또는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이 정하는 바에 의해 시험한
결과 난연 1급에 해당하는 것.

4
- KFS 210 -

[참고] 불연재료란 콘크리트, 석재, 벽돌, 블록, 기와, 석면판, 금속, 유리, 모르타르 회반죽 등 이와 유사한 불
연성의 건축재료.

2.6 수용성 액체(Water Soluble Liquids) 물질의 구성 요소 중 -OH, -CHO 등의 기가 함유되어 있


는 액체로서 물과 혼합되어 균질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에테르류(ROR'), 알데히드류
(RCHO), 알코올류(ROH), 에스테르류(RCOOR'), 개미산(HCOOH) 등이 있음.

2.7 액체(Liquid) 침입도가 300 이상인 아스팔트보다 큰 유동성을 가진 물질. 달리 표시되지 않은 경


우에 액체란 가연성 및 인화성 액체 모두를 의미한다.

(1) 가연성 액체(Combustible Liquids) 인화점이 37.8 ℃ 이상인 액체


클래스 Ⅱ : 인화점이 37.8 ℃ 이상 60 ℃ 미만인 액체
클래스 ⅢA : 인화점이 60 ℃ 이상 93.3 ℃ 미만인 액체
클래스 ⅢB : 인화점이 93.3 ℃ 이상인 액체

(2) 인화성 액체(Fla㎜able Liquids) 인화점이 37.8 ℃ 미만이며, 37.8 ℃에서 증기압이 2.8 ㎏f/㎠ 이
하인 액체
클래스 ⅠA : 인화점이 22.8 ℃ 미만이고, 끓는점이 37.8 ℃ 미만인 액체
클래스 ⅠB : 인화점이 22.8 ℃ 미만이고, 끓는점이 37.8 ℃ 이상인 액체
클래스 ⅠC : 인화점이 22.8 ℃ 이상 37.8 ℃ 미만인 액체

[참고] 침입도(Penetration) : 아스팔트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행하는 시험으로 지름 1 ㎜, 길이 50 ㎜의 잘 연마한


유입 강철제 침에 금속편 등(100그램)을 붙여서 시료에 들어간 침의 깊이를 나타내며, 침입도 1은 1/10 ㎜임.

2.8 유분리장치(Oil Separator) 빗물이나 소화용수 등과 혼합된 기름을 분리하는 장치.

2.9 응력(Stress) 외력을 받는 부재나 구조물의 내부에 생기는 외력에 저항(대응)하는 힘(단위는 ㎏f/
㎠).

2.10 위험물(Hazardous Materials)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물품으로


산화성 고체, 가연성 고체,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인화성 액체, 자기반응성 물질 및 산화성 액
체 등이 있음.

2.11 옥내저장시설(Indoor Storing Facilities) 옥내(지붕과 기둥 또는 벽 등에 의하여 둘러싸인 곳을


말한다.)에서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시설.

2.12 옥내탱크저장시설(Indoor Tank Storage Facilities) 옥내에 있는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시


설.

2.13 옥외저장시설(Outdoor Storage Facilities) 옥외의 장소에서 제2류 위험물 중 유황 또는 인화성


고체(인화점이 0 ℃ 이상인 것),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인화점이 0 ℃ 이상인 것)ㆍ알코올류ㆍ
제2석유류ㆍ제3석유류ㆍ제4석유류ㆍ동식물유 또는 제6류 위험물 등을 저장하는 시설.

2.14 옥외탱크저장시설(Outdoor Tank Storage Facilities) 옥외에 있는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저


장시설.

5
- KFS 210 -

2.15 자기반응성물질(Self-Reaction Materials) 폭발․가열․분해의 위험성이 있으며, 물질 자체에 다


량의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자기반응성 물질에는 유기과산화물
류,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류, 니트로소화합물류, 아조화합물류, 디아조화합물류, 히드라진 및
그 유도체류 등이 있음.

2.16 봉쇄설비(Containment Systems) 가연성 액체를 제조․저장․취급하는 지역에서 가연성 액체의


유출물이 인접한 또는 중요한 시설이나 장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유턱, 방유제, 간막
이 둑 또는 원격 저유설비, 정치조 등이 있음.

2.17 지하암반저장시설(Underground Base Rock Storage Facilities) 지하암반을 굴착하여 만든 지하


암반의 공동에 석유류를 저장하는 시설.

2.18 지하탱크저장시설(Underground Tank Storage Facilities)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탱크에 위험물


을 저장하는 저장시설.

제3장 일반사항

3.1 위험물의 분류
위험물은 각 위험물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에 따라 표 3-1과 같이 분류한다.

표 3-1 위험물의 분류

위험물
지정수량
유별 성질 품명
1. 아염소산염류 50 ㎏
2. 염소산염류 50 ㎏
3. 과염소산염류 50 ㎏
4. 무기과산화물 50 ㎏
5. 브롬산염류 300 ㎏
산화성 6. 질산염류 300 ㎏
제1류
고체
7. 요오드산염류 300 ㎏
8. 과망간산염류 1,000 ㎏
9. 중크롬산염류 1,000 ㎏
10.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50 ㎏, 300 ㎏ 또는
11. 제1호 내지 제10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1,000 ㎏
이상을 함유한 것
1. 황화린 100 ㎏
가연성
제2류 2. 적린 100 ㎏
고체
3. 유황 100 ㎏

6
- KFS 210 -

위험물
지정수량
유별 성질 품명
4. 철분 500 ㎏
5. 금속분 500 ㎏
6. 마그네슘 500 ㎏
가연성
제2류 7.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고체
8. 제1호 내지 제7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이 100 ㎏ 또는 500 ㎏
상을 함유한 것
9. 인화성고체 1,000 ㎏
1. 칼륨 10 ㎏
2. 나트륨 10 ㎏
3. 알킬알루미늄 10 ㎏
4. 알킬리튬 10 ㎏
5. 황린 20 ㎏
6. 알칼리금속(칼륨 및 나트륨을 제외한다) 및 알칼리토
50 ㎏
자연발화성 금속
제3류 물질 및 7. 유기금속화합물(알킬알루미늄 및 알킬리튬을 제외
50 ㎏
금수성물질 한다)
8. 금속의 수소화물 300 ㎏
9. 금속의 인화물 300 ㎏
10.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 300 ㎏
11.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10 ㎏, 20 ㎏, 50 ㎏
12. 제1호 내지 제11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또는 300 ㎏
이상을 함유한 것
1. 특수인화물 50 ℓ
비수용성액체 200 ℓ
2. 제1석유류
수용성액체 400 ℓ
3. 알코올류 400 ℓ
비수용성액체 1,000 ℓ
제4류 인화성액체 4. 제2석유류
수용성액체 2,000 ℓ
비수용성액체 2,000 ℓ
5. 제3석유류
수용성액체 4,000 ℓ
6. 제4석유류 6,000 ℓ
7. 동식물유류 10,000 ℓ
1. 유기과산화물 10 ㎏
2. 질산에스테르류 10 ㎏
3. 니트로화합물 200 ㎏
자기반응성
제5류 4. 니트로소화합물 200 ㎏
물질
5. 아조화합물 200 ㎏
6. 디아조화합물 200 ㎏
7. 히드라진 유도체 200 ㎏

7
- KFS 210 -

위험물
지정수량
유별 성질 품명
8. 히드록실아민 100 ㎏
9. 히드록실아민염류 100 ㎏
자기반응성 10.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제5류
물질 10 ㎏, 100 ㎏
11. 제1호 내지 제10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또는 200 ㎏
이상을 함유한 것
1. 과염소산 300 ㎏
2. 과산화수소 300 ㎏
3. 질산 300 ㎏
제6류 산화성액체 4.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300 ㎏
5. 제1호 내지 제4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이
300 ㎏
상을 함유한 것

[비고]
1. "산화성고체"라 함은 고체[액체(1 기압 및 섭씨 20도에서 액상인 것 또는 섭씨 20도 초과 섭씨 40도 이하에
서 액상인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또는 기체(1기압 및 섭씨 20도에서 기상인 것을 말한다)외의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로서 산화력의 잠재적인 위험성 또는 충격에 대한 민감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
시(이하 "고시"라 한다)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액상"이라
함은 수직으로 된 시험관(안지름 30밀리미터, 높이 120밀리미터의 원통형유리관을 말한다)에 시료를 55밀리미
터까지 채운 다음 당해 시험관을 수평으로 하였을 때 시료액면의 선단이 30밀리미터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
간이 90초 이내에 있는 것을 말한다.
2. "가연성고체"라 함은 고체로서 화염에 의한 발화의 위험성 또는 인화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유황은 순도가 60 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순도측정에 있어서 불순물은 활석 등 불연성물
질과 수분에 한한다.
4. "철분"이라 함은 철의 분말로서 53 마이크로미터의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50 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
외한다.
5. "금속분"이라 함은 알칼리금속ㆍ알칼리토류금속ㆍ철 및 마그네슘외의 금속의 분말을 말하고, 구리분ㆍ니켈
분 및 150마이크로미터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 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6. 마그네슘 및 제2류제8호의 물품중 마그네슘을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
한다.
가. 2밀리미터의 체를 통과하지 아니하는 덩어리 상태의 것
나. 직경 2밀리미터 이상의 막대 모양의 것
7. 황화린ㆍ적린ㆍ유황 및 철분은 제2호의 규정에 의한 성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8. "인화성고체"라 함은 고형알코올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40도 미만인 고체를 말한다.
9.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이라 함은 고체 또는 액체로서 공기 중에서 발화의 위험성이 있거나 물과
접촉하여 발화하거나 가연성가스를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10. 칼륨ㆍ나트륨ㆍ알킬알루미늄ㆍ알킬리튬 및 황린은 제9호의 규정에 의한 성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11. "인화성액체"라 함은 액체(제3석유류,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에 있어서는 1 기압과 섭씨 20도에서 액상
인 것에 한한다)로서 인화의 위험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12. "특수인화물"이라 함은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 밖에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100도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섭씨 영하 20도 이하이고 비점이 섭씨 40도 이하인 것을 말한다.
13. "제1석유류"라 함은 아세톤,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14. "알코올류"라 함은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부터 3개까지인 포화1가 알코올(변성알코올을 포
함한다)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8
- KFS 210 -

가.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 내지 3개의 포화1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60 중량퍼센트 미만인


수용액
나. 가연성액체량이 60 중량퍼센트 미만이고 인화점 및 연소점(태그개방식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연소점을 말
한다. 이하 같다)이 에틸알코올 60 중량퍼센트 수용액의 인화점 및 연소점을 초과하는 것
15. "제2석유류"라 함은 등유, 경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이상 7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
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에 있어서 가연성 액체량이 40 중량퍼센트 이하이면서 인화점이 섭씨 40 도 이상인
동시에 연소점이 섭씨 60도 이상인 것은 제외한다.
16. "제3석유류"라 함은 중유, 클레오소트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70도 이상 섭씨 20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 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17. "제4석유류"라 함은 기어유, 실린더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00도 이상 섭씨 250도 미만의 것
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 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18. "동식물유류"라 함은 동물의 지육 등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1기압에서 인화점
이 섭씨 25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법 제2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용기기준
과 수납ㆍ저장기준에 따라 수납되어 저장ㆍ보관되고 용기의 외부에 물품의 통칭명, 수량 및 화기엄금(화기엄
금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표시를 포함한다)의 표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19. "자기반응성물질"이라 함은 고체 또는 액체로서 폭발의 위험성 또는 가열분해의 격렬함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20. 제5류제11호의 물품에 있어서는 유기과산화물을 함유하는 것 중에서 불활성고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다
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가. 과산화벤조일의 함유량이 35.5 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전분가루, 황산칼슘2수화물 또는 인산1수소
칼슘2수화물과의 혼합물
나. 비스(4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의 함유량이 30중 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고체와의 혼합물
다. 과산화지크밀의 함유량이 40 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고체와의혼합물
라. 1ㆍ4비스(2-터셔리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의 함유량이 40 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고체와의 혼합물
마. 시크로헥사놀퍼옥사이드의 함유량이 30 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고체와의 혼합물
21. "산화성액체"라 함은 액체로서 산화력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
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22. 과산화수소는 그 농도가 36 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에 한하며, 제21호의 성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23. 질산은 그 비중이 1.49 이상인 것에 한하며, 제21호의 성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24. 위 표의 성질란에 규정된 성상을 2가지 이상 포함하는 물품(이하 이 호에서 "복수성상물품"이라 한다)이
속하는 품명은 다음 각목의 1에 의한다.
가. 복수성상물품이 산화성고체의 성상 및 가연성고체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2류제8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나. 복수성상물품이 산화성고체의 성상 및 자기반응성물질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5류제11호의 규정에 의
한 품명
다. 복수성상물품이 가연성고체의 성상과 자연발화성물질의 성상 및 금수성물질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3
류제12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라. 복수성상물품이 자연발화성물질의 성상, 금수성물질의 성상 및 인화성액체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3
류제12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마. 복수성상물품이 인화성액체의 성상 및 자기반응성물질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5류제11호의 규정에 의
한 품명
25. 위 표의 지정수량란에 정하는 수량이 복수로 있는 품명에 있어서는 당해 품명이 속하는 유(類)의 품명 가
운데 위험성의 정도가 가장 유사한 품명의 지정수량란에 정하는 수량과 같은 수량을 당해 품명의 지정수량으
로 한다. 이 경우 위험물의 위험성을 실험ㆍ비교하기 위한 기준은 고시로 정할 수 있다.
26. 동 표에 의한 위험물의 판정 또는 지정수량의 결정에 필요한 실험은 「국가표준기본법」에 의한 공인시험
기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중앙소방학교 또는 소방청장이 지정하는 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다.

3.2 탱크의 용량

(1)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의 용량은 당해 탱크의 내용적에서 공간용적을 뺀 용적으로

9
- KFS 210 -

하여야 한다.

[참고] 이동탱크저장소의 탱크의 경우에는 내용적에서 공간용적을 뺀 용량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 최대 적재량 이하로 하여야 함.

(2) 탱크의 내용적은 다음 기준에 의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a) 타원형 탱크의 내용적

① 양쪽이 볼록한 것

π a b (ℓ+ ℓ 1+ℓ 2
)
4 3

② 한쪽은 볼록하고 다른 한쪽은 오목한 것

π a b ℓ 1-ℓ 2
(ℓ+ )
4 3

(b) 원형 탱크의 내용적

① 횡으로 설치한 것

  
    

10
- KFS 210 -

② 종으로 설치한 것

π r 2ℓ

(c) 기타의 탱크는 탱크의 형태에 따라 수학적 계산방법에 의할 것.

(3) 탱크의 공간용적은 탱크 내용적의 100 분의 5 이상 100 분의 10 이하의 용적으로 한다.

[참고 1] 탱크의 공간용적은 탱크 내부에 여유를 가질 수 있는 공간이며 과충전 또는 체적팽창(온도의 상승에


따른 부피의 증가)에 의한 넘침 방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공간용적이 너무 작으면 넘침 방지의 기
능을 다 할 수 없고, 너무 크면 저장 가능한 위험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비경제적임.

[참고 2] 소화설비를 설치한 탱크로서 소화약제 방출구를 탱크 안의 윗부분에 설치한 탱크의 경우, 당해 탱크
의 내용적 중 당해 소화약제 방출구의 아래 0.3 m 내지 1 m 사이의 면으로부터 윗부분의 용적으로 함(아래
그림참조)
내용적제외

방출구 0.3m이상
1m미만
공간용적
결정부분

탱크용량부분

3.3 위험물 탱크의 분류

3.3.1 사용압력에 따른 탱크 분류

(1) 상압탱크 : 대기압(게이지압 0 ㎜Hg)에서 0.07 ㎏f/㎠(1.0 psi, 52 ㎜Hg)까지 범위의 압력으로 다
량의 액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콘루프탱크, 플루팅루프탱크, 증기돔 탱크, 원통형 탱크 등이 이
에 포함된다.

11
- KFS 210 -

(2) 저압탱크 : 저장탱크의 설계 압력이 0.07 ㎏f/㎠(1.0 psi, 52 ㎜Hg)초과 1.02 ㎏f/㎠(15 psi; 775.5
㎜Hg)이하이며, 자체 증기압 하에서 클래스 IA 액체와 같은 휘발성 액체의 저장에 사용된다. 이러한
탱크는 구형, 타원체 또는 원통형이 사용되며, 저장탱크의 형태는 저장물질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취한다.

(3) 상압탱크 및 저압탱크의 형태와 특징

탱크형태 특 징 저장물질
∙ 수직의 원통형 측판에 원추형의 고정된 지붕
(a) 콘루프 탱크 이 설치된 형태의 탱크
(Cone Roof Tank) ∙ 대기압상태에서 작동
∙ 단열재 사용하기도 함(특히 중질유와 아스팔트) ∙ 인화성액체,
∙ 폭발 등에 의하여 탱크 내의 압력이 비정상적 가연성액체 및
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내부의 가스 또는 증기 부식성액체
를 상부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폭발
방산구, 맨홀, 지붕판과 측판 이음매 분리되도
록 설계 등)
∙ 부동지붕이 내려갈 때 탱크측판을 보강하기
(b) 개방형 플로팅루프 탱크 위해 측판 상부 둘레에 감는 형태의 들보
(Open-top Floating Roof (Wind Girder)가 설치되어 있음.
Tank) ∙ 지붕은 실제로 액면 위에 떠있음.
∙ 탱크 측판과 지붕판 사이에 씰부분이 있음. ∙ 인화성액체 및
∙ 일명 ‘외부(External) 플로팅루프 탱크’라고도 가연성액체
부름
∙ 이중데크(Double-Deck) 플로팅루프 탱크와 부
유판(Pontoon) 플로팅루프탱크가 개방형 탱크
의 대표적인 종류임
(c) 고정지붕형 플로팅루프 탱크
(Covered Floating Roof
Tank) ∙ 고정식 지붕 내부에 플로팅루프를 가진 콘루
프탱크로 IFRT 용어와 동일함 ∙ 인화성액체 및
∙ 탱크측판 꼭대기에 대형 통기설비가 설치됨 가연성액체
∙ 탱크 측판과 지붕판 사이에 씰부분이 있음.

(d) 다각 격자 돔 개방형
플로팅루프 탱크
(Open Floating Roof Tank
∙ 플로팅루프위에 알루미늄 등 가벼운 재질의
with Geodesic Dome)
다각형 격자모양 부동식 지붕판이 설치된 탱
∙ 인화성액체

12
- KFS 210 -

탱크형태 특 징 저장물질

(e) 돔형 지붕 탱크
(Dome Roof Tank) ∙ 수직의 탱크 측판이 고정식 둥근형태의 지붕
을 지지하고 있는 탱크
∙ 0.17 ㎏f/㎠(2.5 psi)~1.02 ㎏f/㎠(15 psi)의 압 ∙ 인화성액체
력에서 작동함 ∙ 화학용제 등
∙ 지붕판은 항시 통기를 멈추지 않게 설계되어
있음.

(f) 지하저장 탱크
(Underground Storage ∙ 강철제, 유리섬유 또는 유리섬유로 덮힌 강철
Tank) 제로 제작된 수평형 탱크
∙ 기본적으로
∙ 표면적의 10% 이상이 지하에 묻혀있는 탱크
석유류제품
는 모두 지하탱크로 간주함.
∙ 외관으로 보이는 것은 통기관, 주입구 등임

(g) 이동탱크저장소
∙ 차량(견인되는 차를 포함)에 고정된 탱크
∙ 인화성액체 및
∙ 위험물 이송을 목적으로 함
가연성액체
∙ 교통사고 등에 의한 누출, 주입 등을 하므로 다른
∙ 화학용제 등
위험물시설과 비교해 높은 위험성을 가짐

(h) 지하암반 저장소


∙ 산악지 등 지하 암반을 활용, 토지이용률 증대
배출수 처리시설
수벽공
∙ 암반 자체를 구조체로 활용함으로써 건설비
입출하 배관
절감되고 수명이 영구적임 ∙ 원유, 액화
GAS

지하수압
∙ 유지 보수비용 저렴 석유가스
OIL 유압
배출수
배관
∙ 화재, 재해 및 폭격 등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시설보호에 유리

3.3.2 지붕형태에 따른 탱크분류

탱크형태 특 징
∙ 통상 탱크 내부 압력이 낮은 경우에 사용함
(1) 고정식 지붕 탱크 ∙ 설계압력이 1.02 ㎏f/㎠(15 psi; 776 ㎜Hg)인 것까지 설계가능
(Fixed-Roof Tank) 함
∙ 고정식 탱크 지붕위에 무변통기관 또는 압력-진공 통기장치 중
하나가 장착됨
∙ 무변통기관은 순수 증기압이 0.102 ㎏f/㎠ (1.5 psi; 77.6 ㎜Hg)
보다 작은 저장액체에 대해서만 선택됨
∙ 0.102 ㎏f/㎠(1.5 psi; 77.6 ㎜Hg)이상의 증기압을 가지는 액체
저장탱크에는 통상 압력-진공통기장치가 선택됨

13
- KFS 210 -

탱크형태 특 징

(2) 플로팅루프 탱크 ∙ 지붕에 외부로 틈새가 있는 ‘개방형(Open-Top) 또는 외부


(Floating Roof Tank) (External)’ 플로팅루프 형식과 ‘내부(Internal)’ 플로팅루프를 보
호하기 위해 추가로 고정식 지붕이 수반된 형식이 있음.

(a) 외부(개방형) 플로팅루프


탱크
∙ 액체제품 표면 위에 떠있는 지붕(이하 ‘플로팅 루프’라 한다)이
[External(Open-top)
외기에 접해있는 수직원통형 탱크
Floating Roof Tank]
∙ 가연성인 증기표면과 관련된 위험과 증발손실을 현저하게 감소
시킴
∙ 빗물, 적설 등에 노출되어있으므로 강우와 적설시에 눌리는 하
중을 견딜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함

(b) 내부 플로팅루프 탱크 ∙ 고정식 지붕과 플로팅루프의 장점을 조합한 탱크


(Internal Floating Roof ∙ 증발손실을 적게 하면서 플로팅루프을 보호하는 2가지 기능이
Tank) 제공됨.
∙ 두 지붕사이 공간에는 액체 증기가 축적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
해 공기순환용 통기구가 지붕 중앙부와 지붕 가장자리에 설치
됨.
∙ 용접이음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지붕과 측판 접합부로부터의 증
기 방출이 없음.

(c) 밀폐 플로팅루프 탱크
∙ 고정식 지붕과 내부 유동식 지붕 2개를 사용한다는 점은 내부
(Closed Floating Roof
유동식 지붕탱크와 유사함.
Tank)
∙ 두 지붕사이 공간에 대한 자연환기설비로 공기순환용 통기구보
다는 주로 압력-진공통기장치를 장착함.
∙ 탱크로부터의 증기방출은 실제로 내부플로팅루프탱크와 같지
만, 이 탱크는 필요시 추가 처리를 위해 그 방출증기를 쉽게
모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음.

(3) 리프터루프 탱크 ∙ 막힌 공간 내에 있는 증기의 팽창과 축소에 따라 지붕이 위와


(Lifter Roof Tank) 아래로 움직임으로써 통기로 인한 증기 손실을 현격히 줄이며,
일명 ‘가변증기공간 탱크’라고도 함.
∙ 구조와 작동원리는 일반적인 가스홀더와 유사함.
∙ 측판과 지붕판이 맞닫는 유동부분은 액봉으로 증기를 새지 않
게 막아줌.
∙ 휘발성제품을 장기간 저장하는 경우에 사용됨.

14
- KFS 210 -

3.4 안전거리

3.4.1 위험물저장시설은 다른 건축물(보호대상물) 등으로부터 당해 위험물을 저장하는 건축물의 외벽


또는 공작물(배관은 제외)의 외측까지의 사이에 안전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참고 1] 안전거리란 저장소와 보호대상과의 이격거리를 말하므로 보호대상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저장소 자체의 주위에 확보하여야 하는 보유공지와는 다른 개념이다.

[참고 2] 안전거리 확보의 대상이 되는 기준은 옥내저장소, 옥외탱크저장소, 옥외저장소에 준용된다.


(세부 안전거리 사항은 해당 시설 참조)

3.5 보유공지

3.5.1 위험물저장시설은 저장시설 또는 주위의 건축물 등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호 연소를 저


지하고, 소방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지를 확보하여야 한다.

3.6 표지 및 게시판

3.6.1 보기 쉬운 곳에 다음 기준에 의하여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1) 표지는 가로 0.6 m 이상, 세로 0.3 m 이상의 것으로 할 것.

(2) 표지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할 것.

3.6.2 보기 쉬운 곳에 다음 기준에 의한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1) 게시판은 가로 0.6 m 이상, 세로 0.3 m 이상의 것으로 할 것.

(2) 게시판에는 저장하는 위험물의 유별ㆍ품명 및 저장최대수량, 지정수량의 배수 및 안전관리자의


성명 또는 직명을 기재할 것

(3) 게시판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할 것.

3.6.3 게시판 외에 취급하는 위험물에 따라 다음 기준에 의한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을 따로 설


치하여야 하며, 이 경우 게시판의 형태는 한 변이 0.3 m 이상이고 다른 한 변이 0.6 m 이상인 직사
각형으로 하여야 한다.

(1) 제2류 위험물 중 인화성고체,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물질, 제4류 위험물 또는 5류 위험물:화
기엄금

(2)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과 이를 함유한 것 또는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 물


기엄금

(3) 제2류 위험물(인화성고체 제외) : 화기주의

15
- KFS 210 -

(4) 3.6.3(1) 및 3.6.3(3)의 게시판은 적색바탕에 백색문자로, 3.6.3(2)의 게시판은 청색바탕에 백색문자
로 할 것.

3.7 채광, 조명 및 환기설비

3.7.1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에는 다음 기준에 의하여 위험물을 취급하는데 필요한 채광, 조명 및
환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1) 채광설비는 불연재료를 사용하고, 연소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되, 채광면적을 최소로 하여
야 한다.

(2) 환기설비는 다음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a) 환기는 자연배기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b) 급기구는 바닥면적 150 ㎡ 마다 1개 이상으로 하되, 그 크기는 800 ㎠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바닥면적이 150 ㎡ 미만인 경우에는 표 3-2의 크기로 하여야 한다.

표 3-2 바닥면적에 따른 급기구의 면적

바닥면적 급기구의 면적
60 ㎡ 미만 150 ㎠ 이상
60 ㎡ 이상 90 ㎡ 미만 300 ㎠ 이상
90 ㎡ 이상 120 ㎡ 미만 450 ㎠ 이상
120 ㎡ 이상 150 ㎡ 미만 600 ㎠ 이상

(c) 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하고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d)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2 m 이상의 높이에 회전식 고정벤티레이터 또는 루푸팬방식으


로 설치하여야 한다.

(3) 조명설비는 다음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a) 가연성 가스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조명등, 전기배선 및 스위치는 방폭구조로 하


여야 한다.

[참고] 방폭구조 등과 관련한 세부 사항은 KFS 435 방폭구조의 전기설비 기준을 따른다.

(b) 전선은 내화전선, 내열전선으로 하여야 한다.

(c) 점멸 스위치는 스위치의 스파크로 인하여 화재나 폭발 등의 우려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입구 바깥부분에 설치하여야 한다. 바깥부분에 설치하는 경우 빗물 등으로 인한 영향이 없
도록 설치한다.

16
- KFS 210 -

3.7.2 배출설비가 설치되어 유효하게 환기가 되는 건축물에는 환기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3.8 배출설비
가연성의 증기 또는 미분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건축물에는 그 증기 또는 미분을 옥외의 높은 곳으
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음 기준에 의하여 배출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참고 ] 옥내저장소의 경우 인화점이 70 ℃ 미만인 위험물을 저장하는 경우 배출설비 필요함.

(1) 배출설비는 국소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역방식으로 할 수 있다.

(a) 위험물 취급설비가 배관이음 등으로만 된 경우

(b) 건축물의 구조, 작업장소의 분포 등의 조건에 의하여 전역방식이 유효한 경우

(2) 배출설비는 배풍기, 배출덕트, 후드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이
때 공기보다 무거운 가연성의 증기 등을 배출하는 설비의 배출구 흡입측은 집유구 근처 등 바닥에
서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여 유효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3) 배출덕트와 후드는 불연성의 구조로 하여야 하고, 배풍기는 화재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 위치
에 설치하여야 한다.

(4) 배출능력은 1시간 당 배출장소 용적의 20배 이상인 것으로 하여야 하며, 전역방식인 경우에는 바
닥면적 1 ㎡ 당 18 ㎥이상으로 할 수 있다.

(5) 배출설비의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a)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가는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망을 설치할 것.

(b) 배출구는 지상 2 m 이상으로서 연소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며, 배출덕트가 관


통하는 벽 부분의 바로 가까이에 화재 시 자동으로 폐쇄되는 방화댐퍼는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할 것.

(6) 배풍기는 강제배기방식으로 하고, 옥내덕트의 내압이 대기압 이상이 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
하여야 한다.

3.9 피뢰설비

(1)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시설(제6류 위험물은 제외)에는 당해 시설의 주위의
상황에 따라 안전상 지장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피뢰침(KS C 9609)을 설치하여야 한다.

(2) 피뢰설비에 대한 기타 사항은 "KFS 421, 피뢰설비 설치기준" 에 따라야 한다.

3.10 배관
위험물을 취급하는 배관은 다음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7
- KFS 210 -

(1) 다음 기준에 적합한 지하매설배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강관 그밖에 이와 유사한 금속성으로 하


여야 한다.

(a) 배관의 재질은 한국산업규격에 의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고밀도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우레


탄으로 할 것

(b) 배관의 구조는 내관 및 외관의 이중으로 하고,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는 틈새공간을 두어 누
설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다만, 배관의 재질이 취급하는 위험물에 의
해 쉽게 열화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c) 국내 또는 국외의 관련 공인시험기관으로부터 안전성에 대한 시험 또는 인증을 받을 것.

(2) 배관에 걸리는 최대상용압력이 1.5배 이상의 압력으로 불연성의 액체나 기체를 사용하여 내압시
험을 하여 누설 기타의 이상이 없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3) 배관(불변강관의 경우 제외)을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지진, 풍압, 지반침하, 온도변화에 안전한
구조의 지지물에 설치하되, 지면에 닿지 아니하도록 하고 배관의 외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도장을 하
여야 한다. 다만, 불변강관 또는 부식의 우려가 없는 재질의 배관의 경우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장
을 아니할 수 있다

(4)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a) 배관의 외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하여 도장, 코팅 또는 전기방식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

(b) 배관의 접합부분(용접에 의한 접합부 또는 누설의 우려가 없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접
합된 부분을 제외)에는 위험물의 누설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구를 설치할 것.

(c) 지면에 미치는 중량이 당해 배관에 미치지 않도록 보호할 것.

(d) 지하배관은 배관 아래에 최소 15 ㎝(6 in.) 두께의 되메움물질을 치밀하게 채운 후 그 위에


설비되어야 한다.

(e) 차량이 통행하는 지역의 배관트렌치는 도로 상단면으로부터 아래로 45 ㎝(18 in.) 이상의 깊
이로 포장재(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와 되메움물질이 덮이도록 매설하여야 한다.

[참고 1] 최소 5 ㎝(2 in.)두께의 아스팔트 포장재로 된 도로 지역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재 하단부분과 배관 위


부분(또는 배관트렌치내의 최상단 배관 위부분) 사이 되메움물질의 두께를 20 ㎝(8 in.)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
함.

[참고 2] 최소 10 ㎝(4 in.)두께의 철근콘크리트 포장재로 된 도로 지역에서는, 철근콘크리트 포장재 하단부분


과 배관 위부분(또는 배관트렌치 내의 최상단 배관 위부분) 사이의 되메움물질의 두께를 10 ㎝(4 in.)까지 줄이
는 것이 가능함.

(f) 차량이 통행하지 않는 지역의 배관트렌치는 도로 상단면으로부터 아래로 15 ㎝(6 in.) 이상의
깊이로 되메움물질이 긴밀하게 채워지도록 매설하여야 한다. 제조자의 지시에 의해 필요한
경우이거나 결빙이 생기는 추운 지역에서는 매설 깊이를 추가 고려하여야 한다. 동일한 배관

18
- KFS 210 -

트렌치 내에 있는 둘 이상의 배관들은 상호 인접한 두 배관의 직경을 합한 거리만큼 이격시


켜야 하지만, 그 거리가 23 ㎝(9 in.)를 초과하는 경우 23 ㎝(9 in.)로 할 수 있다.

(g) 동일한 배관트렌치 안에 2개 이상의 단이 있는 배관설비는 각 배관 상하 간에 15 ㎝(6 in.)


이상 이격하여 되메움물질로 긴밀하게 채워야 한다.

(5) 배관에 가열 또는 보온을 위한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화재예방상 안전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3.11 펌프설비

(1) 펌프설비는 견고한 기초 위에 고정하여야 한다.

(2) 펌프 및 이에 부속하는 전동기를 위한 건축물 그 밖의 공작물(이하 "펌프실"이라 한다)의 벽ㆍ기


둥ㆍ바닥 및 보는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3) 펌프실의 지붕을 폭발력이 위로 방출될 정도의 가벼운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4) 펌프실의 창 및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펌프실의 창 및 출


입구에 유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망입유리로 설치하여야 한다.

(5) 펌프실의 바닥의 주위에는 높이 0.2 m 이상의 턱을 만들고 바닥은 콘크리트 등 위험물이 스며들
지 아니하는 재료로 적당히 경사지게 하여 그 최저부에는 집유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6) 펌프실에는 위험물의 취급에 적당한 채광, 조명 및 환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7) 펌프실 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펌프실 주위의 바닥은 콘크리트 기타 불침윤재료로 적당히 경사지
게 하고, 그 둘레에 높이 15 ㎝ 이상의 턱을 설치하여야 하며, 바닥의 최저부에는 저유설비를 설치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4류 위험물(수용성의 것은 제외)을 취급하는 펌프설비에 있어서는 "KFS
735, 인화성ㆍ가연성 액체의 봉쇄 및 배출설비기준"에 적합하게 당해 위험물이 직접 배수구에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저유시설과 유분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8) 인화점이 21 ℃ 미만의 위험물 탱크의 펌프설비에는 그 보기 쉬운 곳에 펌프설비라는 뜻을 표시


한 표지를 설치하고,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을 2.6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하여
야 한다.

(9) 사용시점에서 액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배관설비를 가압하게끔 펌프설비를 조정해놓아야 한


다. 사용되지 않을 때 배관설비가 가압되는 것은 피한다.

(10) 안전밸브 또는 긴급 차단밸브가 작동될 때 펌프가 차단되도록 조정해 놓아야 한다.

(11) 액체흐름의 완전한 차단이 가능하게 하여야 할 경우, 용적식 펌프를 사용한다. 원심펌프를 사용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펌프 자체가 멈추도록 조정됐을 뿐이고 중력 또는 사이펀작용에 의해 액체흐
름이 지속될 수 있다.

(12) 펌프 제작특성을 선정할 때 아래 요인을 고려한다:

19
- KFS 210 -

(a) 펌프는 주강제이어야 한다. 펌프, 팩킹 및 외장부는 취급되는 액체에 적합하여야 한다.

(b) 그랜드팩킹을 펌프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터드는 관련 나사의 양을 나타내기 위해 외


부 말단에 너트처리하여야 한다.

(c) 펌프가 잦은 무급유 상태로 작동하는 경우, 펌프 케이싱, 임펠러, 기타 유동부분은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한다.

(d) 펌프에서의 누유에 의해 생성되는 노출이 심각하거나 누유빈도가 높을 경우, 이중 실(Double


seal) 또는 실이 없는(Non-seal) 유형의 펌프를 설치한다.

(13) 용적식 펌프는 압력릴리프밸브를 하류에 설치한다. 그 밸브는 설비에서의 과압생성을 막기에 충
분한 크기여야 한다. 릴리프밸브의 방출을 공급원으로 되돌아오게 배관하거나 또는 펌프의 흡입부로
배관시킨다. 밀폐식 인화점이 –18 ℃(0 ℉) 이하인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설비는 펌프의 교반작용으
로 인한 과열 가능성을 막기 위하여 릴리프밸브의 방출을 공급원 쪽으로 되돌아오게 하여야 한다.

(14) 탱크의 증기공간에 있는 회전부분의 무급유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잠액펌프 또는 수직축 원심
펌프를 배치한다. 펌프와 베어링을 냉각시키기 위해 펌핑된 액체를 이용하는 것은 허용된다.

(15) 펌프는 아래에 열거된 순서에 따라 우선적으로 위치시켜야 한다.

(a) 옥외 위치

(b) 불연재의 펌프실

(c) 주요 건물 내의 외부실

3.12 금속의 사용제한


제4류 특수인화물류 중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프로필렌 또는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프로필렌을 함유한
것(이하 “아세트알데히드 등”이라 함)을 취급하는 설비는 은, 수은, 동, 마그네슘 또는 은, 수은, 동,
마그네슘 성분을 함유한 합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3.13 불활성 가스 등의 봉입장치 등

(1)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또는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을 함유한 것(이하 “알킬알루미늄 등”이라


함)을 취급하는 설비에는 불활성의 기체를 봉입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그 취급설비의 주위에는 누설
범위를 국한할 수 있는 설비와 누설된 알킬알루미늄 등을 안전한 장소에 설치된 저장실에 유입시킬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취급하는 설비에는 연소성 혼합기체의 생성에 의한 폭발방지를 위해 불활


성 가스 또는 수증기를 봉입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상시 봉입하는 경우의 압력은 위험물을 취급하는
설비의 사용압력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취급하는 탱크에는 냉각장치 또는 저온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하 “보냉


장치”라 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20
- KFS 210 -

[참고] 지하에 매설하는 탱크로서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외함.

(4) 3.13(3)의 규정에 의한 냉각장치 또는 보냉장치에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예비동력원을 설치하
여야 한다.

(a) 상용전력원이 고장인 경우에 자동적으로 예비동력원으로 전환되어 가동되도록 할 것

(b) 예비동력원의 용량은 냉각장치 또는 보냉장치를 유효하게 작동할 수 있는 정도일 것

제4장 옥내저장소

4.1 안전거리

(1) 옥내저장소(지정유기과산화물의 옥내저장소는 제외)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다른 건축물 등에


대한 안전거리를 두어야 한다.

(a) 나목 내지 라목의 규정에 의한 것 외의 건축물 그 밖의 공작물로서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것


(제조소가 설치된 부지 내에 있는 것을 제외한다)에 있어서는 10 m 이상

(b) 학교ㆍ병원ㆍ극장 그 밖에 다수인을 수용하는 시설로서 다음의 1에 해당하는 것에 있어서는


30m 이상

①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 및 「고등교육법」제2조에 정하는 학교

② 「의료법」 제3조제2항제3호에 따른 병원급 의료기관

③ 「공연법」 제2조제4호에 따른 공연장,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


10호에 따른 영화상영관 및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시설로서 3백명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것

④ 「아동복지법」 제3조제10호에 따른 아동복지시설, 「노인복지법」 제31조제1호부터 제3호


까지에 해당하는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법」 제58조제1항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
「한부모가족 지원법」 제19조제1항에 따른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영유아보육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어린이집,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제1항에 따른
성매매피해자등을 위한 지원시설, 「정신보건법」 제3조제2호에 따른 정신보건시설, 「가
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의2제1항에 따른 보호시설 및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시설로서 20명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것

(c)「문화재보호법」의 규정에 의한 유형문화재와 기념물 중 지정문화재에 있어서는 50 m 이상

(d) 고압가스, 액화석유가스 또는 도시가스를 저장 또는 취급하는 시설로서 다음의 1에 해당하는


것에 있어서는 20 m 이상. 다만, 당해 시설의 배관 중 제조소가 설치된 부지 내에 있는 것은 제

21
- KFS 210 -

외한다.

①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여야 하는 고압가스제


조시설(용기에 충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고압가스 사용시설로서 1일 30 ㎥ 이상의 용
적을 취급하는 시설이 있는 것

②「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여야 하는 고압가스저


장 시설

③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여야 하는 액화산소를


소비하는 시설

④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를 받아야 하는 액화석유가


스제조시설 및 액화석유가스저장시설

⑤ 「도시가스사업법」제2조제5호의 규정에 의한 가스공급시설

(e) 사용전압이 7,000 V 초과 35,000 V 이하의 특고압가공전선에 있어서는 3 m 이상

(f) 사용전압이 35,000 V를 초과하는 특고압가공전선에 있어서는 5 m 이상

(2)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4.1(1)의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a) 제4석유류 또는 동식물유류를 지정수량의 20배 미만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

(b) 제6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

(c) 지정수량의 20배 이하(하나의 저장창고의 바닥면적이 150 ㎡ 이하인 경우에는 50배 이하)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로서 다음 기준에 적합한 것.

① 저장소의 벽, 기둥, 바닥, 보 및 지붕은 내화구조로 할 것.

② 저장소의 출입구에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방식의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③ 저장소에 창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④ 내화구조 및 갑종방화문은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에 적합해야 함.

4.2 보유공지

(1) 옥내저장소(4.6 및 4.7의 기준에 의한 옥내저장소는 제외)의 주위에는 그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


험물의 최대수량에 따라 표 4-1에 의한 너비의 공지를 보유하여야 한다.

(2) 지정수량의 20배를 초과하는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를 동일 구내에 2개 이상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그 인접하는 방향의 보유공지는 4.2(1)의 기준에 의한 보유공지의 1/3 이상

22
- KFS 210 -

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유공지의 너비는 3 m 이상이 되어야 한다.

표 4-1 옥내저장소의 보유공지

벽, 기둥, 및 벽, 기둥, 및
위험물의 바닥이 기타의 위험물의 바닥이 기타의
최대수량 내화구조로 된 건축물 최대수량 내화구조로 된 건축물
건축물 건축물

지정수량의 지정수량의 50배


0.5 m 이상 3 m 이상 5 m 이상
5배 이하 초과, 100배 이하
지정수량의
지정수량의 100배
5배 초과, 20배 1 m 이상 1.5 m 이상 5 m 이상 10 m 이상
초과, 200배 이하
이하
지정수량의 20배 지정수량의 200배
2 m 이상 3 m 이상 10 m 이상 15 m 이상
초과, 50배 이하 초과

4.3 표지 및 게시판

(1) 옥내저장소에는 그 보기 쉬운 곳에 위험물 옥내저장소라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설치하고,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 및 취급하는 위험물에 따른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을 설치
하여야 한다.

(2) 4.3(1)의 표지 및 게시판은 3.6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4.4 구조 및 설비

(1) 옥내저장소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은 4.5 내지 4.7에서 정한 것 외에 4.4(2) 내지


(14)의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2) 하나의 저장창고의 바닥면적(2 이상의 구획된 실이 있는 경우에는 각실의 바닥면적의 합계)은 다
음 각목의 구분에 의한 면적 이하로 하여야 한다. 이 경우 가목의 위험물과 나목의 위험물을 같은
저장창고에 저장하는 때에는 가목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보아 그에 따른 바닥면적을 적용한다.

(a) 다음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창고 : 1,000 ㎡

① 제1류 위험물 중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그 밖에 지정수량


이 50 ㎏인 위험물

② 제3류 위험물 중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그 밖에 지정수량이 10 ㎏인 위험


물 및 황린

③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 제1석유류 및 알코올류

④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그 밖에 지정수량이 10 ㎏인 위험물

23
- KFS 210 -

⑤ 제6류 위험물

(b) 가목의 위험물 외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창고 : 2,000 ㎡

(c) 가목의 위험물과 나목의 위험물을 내화구조의 격벽으로 완전히 구획된 실에 각각 저장하는
창고 : 1,500 ㎡(가목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실의 면적은 500 ㎡를 초과할 수 없다)

(3) 저장창고는 지면에서 처마까지의 높이(이하 "처마높이"라 함)가 6 m 미만인 단층건물로 하고, 그
바닥을 지반면 보다 높게 하여야 하며, 제2류 위험물 또는 제4류 위험물만을 저장하는 창고로서 다
음 기준에 적합한 창고의 경우에는 20 m 이하로 할 수 있다.

(a) 벽, 기둥, 보, 및 바닥을 내화구조로 할 것.

(b) 출입구에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c) 3.9의 기준에 적합하게 피뢰침을 설치할 것.

(4) 저장창고의 벽, 기둥 및 바닥은 내화구조로 하고, 보와 서까래는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참고]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의 위험물의 저장창고 또는 제2류와 제4류의 위험물(인화성고체 및 인화점이 70
℃ 미만인 제4류 위험물을 제외한다)만의 저장창고에 있어서는 연소의 우려가 없는 벽ㆍ기둥 및 바닥은 불연
재료로 할 수 있다.

(5) 저장창고의 벽ㆍ기둥 및 바닥은 내화구조로 하고, 보와 서까래는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다만,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의 위험물의 저장창고 또는 제2류와 제4류의 위험물(인화성고체 및 인화점이
70 ℃ 미만인 제4류 위험물을 제외한다)만의 저장창고에 있어서는 연소의 우려가 없는 벽ㆍ기둥 및
바닥은 불연재료로 할 수 있다.

(6) 저장창고의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하되, 연소의 우려가 있는 외벽에 있


는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저장창고의 창
또는 출입구에 유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망입유리로 하여야 한다.

(7)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것, 제2류 위험물 중 철분ㆍ금속분


ㆍ마그네슘 또는 이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 또는 제4류 위험
물의 저장창고의 바닥은 물이 스며 나오거나 스며들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8) 액상위험물 저장소의 바닥은 위험물이 침투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되, 적당하게 경사지게 하고,
그 최저부에 집유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9) 제5류 위험물중 셀룰로이드류 그밖에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분해․발화할 우려가 있는 것의 저
장창고는 당해 위험물이 발화하는 온도에 달하지 아니하는 온도를 유지하는 구조로 하거나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비상전원을 갖춘 통풍장치 또는 냉방장치 등의 설비를 2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a) 상용전력원이 고장인 경우에 자동적으로 비상전원으로 전환되어 가동되도록 할 것

24
- KFS 210 -

(b) 비상전원의 용량은 통풍장치 또는 냉방장치 등의 설비를 유효하게 작동할 수 있는 정도일 것

(10) 전기설비는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설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1) 저장창고에 선반 등의 수납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a) 수납장은 불연재료로 만들어 견고한 기초 위에 고정할 것.

(b) 수납장은 당해 수납장 및 그 부속설비의 자중, 저장하는 위험물의 중량 등의 하중에 의하여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할 것.

(c) 수납장에는 위험물을 수납한 용기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조치를 할 것.

(12) 저장창고에는 3.7 및 3.8의 기준에 준하여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기 위해 필요한 채광, 조명, 환
기 및 배출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참고] 인화점이 70 ℃ 이상인 위험물의 저장창고에는 배출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음.

(13)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저장창고(제6류 위험물은 제외)에는 3.9의 기준에 준하여 피뢰침을 설
치하여야 한다.

(14) 내화구조,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은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 그리고 저장소의
바닥 및 집유설비는 "KFS 735, 인화성ㆍ가연성 액체의 봉쇄 및 배출설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4.5 다층건물인 저장창고의 구조 등

(1) 옥내저장소 중 제2류 위험물(인화성 고체는 제외) 또는 제4류 위험물(인화점이 70 ℃ 미만인 것


은 제외)에 해당하는 위험물만을 저장, 취급하는 옥내저장소(저장창고가 단층건물 외의 건출물에 있
는 경우에 한함)의 구조 및 설비의 기술상 기준은 4.4(5) 내지 (13)의 기준에 의하며, 그 외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저장창고는 각층의 바닥을 지면보다 높게 설치하고, 바닥으로부터 상층의 바닥(상층이 없는


경우에는 처마)까지의 높이(이하 "층고"라 함)를 6 m 미만으로 할 것.

(b) 저장창고의 바닥면적의 합계는 1,000 ㎡ 이하로 할 것.

(c) 저장창고의 벽, 기둥, 바닥 및 보를 내화구조로 하고 계단은 불연재료로 만들며, 연소우려가


있는 외벽은 출입구 이외의 개구부를 갖지 않도록 할 것.

(d) 2층 이상의 층의 바닥에는 개구부를 설치하지 말 것.

[참고] 내화구조의 벽과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으로 구획한 계단실의 경우에는 제외함.

4.6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부분이 있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옥내저장소의 구조 및 설비


옥내저장소의 용도에 사용되는 부분 외의 부분을 가진 건축물에 설치하는 옥내저장소 중 지정수량

25
- KFS 210 -

의 배수가 20 이하인 옥내저장소의 구조 및 설비의 기술상 기준은 4.4(7) 내지 (13)의 기준에 의하며,
그 외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옥내저장소는 벽, 기둥, 바닥 및 보가 내화구조인 건축물의 1층 또는 2층에 설치할 것.

(2) 옥내저장소의 용도에 사용되는 부분의 바닥은 지면보다 높게 설치하고, 그 층고를 6 m 미만으로
할 것.

(3) 옥내저장소의 용도에 사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적은 75 ㎡ 이하가 되도록 할 것.

(4) 옥내저장소의 용도에 사용되는 부분은 벽, 기둥, 바닥, 보 및 지붕(상층이 있는 경우, 상층의 바
닥을 말함)을 내화구조로 하고, 출입구 외의 개구부가 없는 구조로서 두께 70 ㎜ 이상의 철근콘크리
트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의 바닥 또는 벽으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구
획되도록 할 것.

(5) 옥내저장소의 용도에 사용되는 부분의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방식의 갑종방화


문을 설치할 것.

(6) 옥내저장소의 용도에 사용되는 부분에는 창을 설치하지 말 것.

(7) 옥내저장소의 용도에 사용되는 부분의 환기설비 및 배출설비에는 방화댐퍼를 설치할 것.

(8) 내화구조,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 방화댐퍼는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에 적합


하여야 한다.

4.7 지정과산화물의 옥내저장소

(1) 다른 건축물 등으로부터 당해 옥내저장소의 외벽(이에 상응하는 공작물의 외축을 포함)까지의 사


이에는 표 4-2의 기준에 의한 안전거리를 두어야 한다.

표 4-2 지정과산화물 옥내저장소의 안전거리


(단위 : m 이상)

4.1.(1)가의 기준에 의한 3.1.(1)나의 기준에 의한 3.1.(1)다의 기준에 의한


건축물 기타 건축물 기타 건축물 기타
공작물과의 안전거리 공작물과의 안전거리 공작물과의 안전거리
최대저장량
옥내저장소의 옥내저장소의 옥내저장소의
주위에 담이나 기타의 주위에 담이나 기타의 주위에 담이나 기타의
토제를 설치한 경우 토제를 설치한 경우 토제를 설치한 경우
경우 경우 경우

지정수량의 10배 이하 20 40 30 50 50 60

지정수량의 10배 초과
22 45 33 55 54 65
20배 이하

26
- KFS 210 -

4.1.(1)가의 기준에 의한 3.1.(1)나의 기준에 의한 3.1.(1)다의 기준에 의한


건축물 기타 건축물 기타 건축물 기타
공작물과의 안전거리 공작물과의 안전거리 공작물과의 안전거리
최대저장량
옥내저장소의 옥내저장소의 옥내저장소의
주위에 담이나 기타의 주위에 담이나 기타의 주위에 담이나 기타의
토제를 설치한 경우 토제를 설치한 경우 토제를 설치한 경우
경우 경우 경우

지정수량의 20배 초과
24 50 36 60 58 70
40배 이하
지정수량의 40배 초과
27 55 39 65 62 75
60배 이하

지정수량의 60배 초과
32 65 45 75 70 85
90배 이하
지정수량의 90배 초과
37 75 51 85 79 95
150배 이하
지정수량의 150배 초과
42 85 57 95 87 105
300배 이하

지정수량의 300배 초과 47 95 66 110 100 120

[주]
1. 표 4-2에서의 담 또는 토제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것으로 한다.
가. 담 또는 토제는 옥내저장소의 외벽으로부터 2 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이 경우, 당해 옥내저장소의 보
유공지 너비의 5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나. 담 또는 토제의 높이는 옥내저장소의 처마 높이 이상으로 할 것.
다. 담은 두께 15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하거나, 두께 20 ㎝ 이상의 보강콘
크리트블록조로 할 것.
라. 토제의 경사면의 경사도는 60 도 미만으로 할 것.
2. 지정수량의 5배 이상의 지정과산화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로서, 그 저장창고의 외벽을 두께 3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한 때에는 이를 표 4-2에서의 담 또는 토제로 본다.
3. 지정수량의 5배 이하의 지정과산화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로서, 그 저장창고의 외벽을 두께 3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하고, [주] 1의 기준에 적합한 담 또는 토제를 설치한
옥내저장소에 있어서는 4.1.(1)가 기준에 의한 건축물 기타 공작물과의 안전거리를 10 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2) 옥내저장소의 주위에는 그 저장 또는 취급하는 지정과산화물의 최대수량에 따라 표 4-3의 기준


에 의한 너비의 공지를 보유하여야 한다.

27
- KFS 210 -

표 4-3 지정유기과산화물 옥내저장소의 보유공지


(단위 : m 이상)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지정
수량의 수량의 수량의 수량의 수량의 수량의 수량의 수량의 수량의
지정유기과산화물의 5배 5배 10배 20배 40배 60배 90배 150배 300배
최대저장량 이하 초과 초과 초과 초과 초과 초과 초과 초과
10배 20배 40배 60배 90배 150배 300배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옥내저장소의
주위에 담
3 3 6.5 8 10 11.5 13 15 16.5
공지의 또는 토제를
너비 설치한 경우

기타의 경우 10 15 20 25 30 35 40 45 50

[주]
1. 표 4-3에서의 담 또는 토제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것으로 한다.
가. 담 또는 토제는 옥내저장소의 외벽으로부터 2 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나. 담 또는 토제의 높이는 옥내저장소의 처마 높이 이상으로 할 것.
다. 담은 두께 15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하거나, 두께 20 ㎝ 이상의 보강콘
크리트블록조로 할 것.
라. 토제의 경사면의 경사도는 60 도 미만으로 할 것.
2. 지정수량의 5배 이상의 지정과산화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로서, 그 저장창고의 외벽을 두께 3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한 때에는 이를 표 4-2에서의 담 또는 토제로 본다.
3. 지정수량의 5배 이하의 지정과산화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로서, 그 저장창고의 외벽을 두께 3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하고, 제1호의 기준에 적합한 담 또는 토제를 설치한
옥내저장소에 있어서는 건축물 기타 공작물과의 보유공지를 2 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3) 옥내저장소는 바닥면적 150 ㎡ 이내마다 개구부가 없는 격벽으로 완전 구획하여야 하며, 그 격벽


은 두께 3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하거나 두께 40 ㎝ 이상의 보강
콘크리트블록조로 하고, 격벽의 양측은 외벽으로부터 1 m 이상, 상부는 지붕으로부터 50 ㎝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4) 외벽은 두께 2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하거나, 두께 30 ㎝ 이상


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로 하여야 한다.

(5) 지붕은 가벼운 불연성 단열재 기타 가벼운 불연재료로 하고, 그 안쪽은 다음 기준에 해당하는 것
으로 하여야 한다.

(a) 중도리 또는 서까래의 간격은 30 ㎝ 이하로 할 것.

(b) 지붕의 내면에 한 변의 길이 45 ㎝ 이하의 둥근 철강이나 경량형강 등의 강철제 격자를 할


것.

28
- KFS 210 -

(c) 지붕의 내면에 철망을 설치하고, 그 철망을 처마도리, 보 또는 서까래에 고정할 것.

(6) 출입구에는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에 적합하게 갑종방화문을 설치하고, 창은 바닥


으로부터 2 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해야 하며, 하나의 창의 면적은 0.4 ㎡ 이내로 하고, 1개 면의 벽
에 설치하는 창의 면적의 합계가 그 벽의 면적의 80분의 1 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4.8 알킬알루미늄 등의 옥내저장소

(1) 알킬알루미늄 등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에 대하여는 4.6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하며,


누설범위를 국한하기 위한 설비와 누설된 알킬알루미늄 등을 안전한 장소에 유입시켜 저장할 수 있
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2) 히드록실아민등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에 대하여 강화되는 기준은 히드록실아민 등의


온도의 상승에 의한 위험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는 것으로 한다.

제5장 옥외탱크저장소

5.1 안전거리
옥외저장탱크는 4.1의 기준에 적합하게 다른 건축물 등에 대한 안전거리를 두어야 한다.

5.2 보유공지

(1) 옥외탱크저장소(위험물을 이송하는 배관 기타 이에 준하는 시설은 제외)의 주위에는 그 저장 또


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에 따라 옥외저장탱크의 측면으로부터 표 5-1에 의한 너비의 공지를
보유하여야 한다.

표 5-1 옥외탱크저장소의 보유공지

최대저장량 공지의 너비 최대저장량 공지의 너비

지정수량의
지정수량의 500배 이하 3 m 이상 3,000배 초과 15 m 이상
4,000배 이하

지정수량의 500배 초과
5 m 이상 당해 탱크의 수평단면의 최대지
1,000배 이하
름(횡형인 경우 긴변)과 높이 중
지정수량의 1,000배 큰 것과 같은 거리 이상이어야
9 m 이상 지정수량의
초과 2,000배 이하 한다. 다만, 30 m 초과의 경우에
4,000배 초과
는 30 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지정수량의 2,000배 15 m 미만의 경우에는 15 m 이
12 m 이상 상으로 하여야 한다.
초과 3,000배 이하

29
- KFS 210 -

(2) 제6류 위험물 외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외저장탱크(지정수량의 4,000배 초과는 제외)


를 동일한 방유제 안에 2개 이상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그 인접하는 방향의 보유공지는 5.2(1)의
기준에 의한 보유공지의 1/3 이상의 너비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유공지의 너비는 3 m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제6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외저장탱크는 5.2(1)의 기준에 의한 보유공지의 1/3 이상의
너비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유공지의 너비는 1.5 m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제6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외저장탱크를 동일 구내에 2개 이상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그 인접하는 방향의 보유공지는 5.2(3)의 기준에 의하여 산출된 너비의 1/3 이상의 너비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유공지의 너비는 1.5 m 이상이 되어야 한다.

(5) 4.2(1)에도 불구하고, 다음 기준에 적합한 물분무설비로 방호조치를 한 경우에는 그 보유공지를


5.2(1)의 기준에 의한 보유공지의 1/2이상(최소 3 m 이상)의 너비로 할 수 있다.

(a) 탱크의 표면에 방사하는 물의 양은 원주길이 1 m에 대하여 37 ℓ/min 이상으로 할 것.

(b) 수원의 양은 5.2(5)(a)의 기준에 의한 수량으로 20분 이상 방사할 수 있는 수량으로 할 것.

(c) 탱크에 보강링이 설치된 경우에는 보강링의 아래에 분무헤드를 설치하되, 분무헤드는 탱크의
높이 및 구조를 고려하여 분무가 적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배치할 것.

(d) 기타 물분무소화설비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은 "KFS 1015, 물분무소화설비기준"에


따라야 한다.

[참고] 인접한 2개의 옥외탱크 간 이격거리에 관한 NFPA의 기준 (NFPA 30)은 부록 2 참조

5.3 표지 및 게시판

(1) 옥외탱크저장소에는 그 보기 쉬운 곳에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라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설치하


고,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 및 취급하는 위험물에 따른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
시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2) 5.3(1)의 표지 및 게시판은 3.6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탱크의 군(群)에 있어서는 제1
호의 표지 및 게시판을 그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보기 쉬운 곳에 일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시판과 각 탱크가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5.4 탱크의 외부구조 등

(1) 옥외저장탱크는 특정옥외저장탱크 및 준특정옥외저장탱크 외에는 두께 3.2 ㎜ 이상의 강철판 또


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규격에 적합한 재료로 제작하여야 한다.

[참고] 특정옥외저장탱크 및 준특정옥외저장탱크는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규칙 별표 6 Ⅶ, Ⅷ 참조

(2) 압력탱크(최대상용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탱크를 말한다)외의 탱크는 충수시험, 압력탱크는

30
- KFS 210 -

최대상용압력의 1.5배의 압력으로 10분간 실시하는 수압시험에서 각각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특정옥외저장탱크의 용접부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실시하는 방사선 투과시
험, 진공시험 등의 비파괴시험에 있어서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 옥외저장탱크의 외면에는 녹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을 하여야 한다. 다만, 탱크의 재질이 부식의
우려가 없는 스테인레스 강판 등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옥외저장탱크의 밑판[에뉼러판(특정옥외저장탱크의 옆판의 최하단 두께가 15 ㎜를 초과하는 경


우, 내경이 30 m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옆판을 고장력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옆판의 직하에 설치
하여야 하는 판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설치하는 특정옥외저장탱크에 있어서는 에뉼러판을 포함한
다. 이하 이 호에서 같다]을 지반면에 접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1의 기준에 따라 밑판
외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a) 탱크의 밑판 아래에 밑판의 부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샌드 등의 방식재료
를 댈 것

(b) 탱크의 밑판에 전기방식의 조치를 강구할 것

(c) 가목 또는 나목의 규정에 의한 것과 동등 이상으로 밑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강


구할 것

5.5 탱크의 내진 및 내풍압구조

(1) 특정옥외저장탱크 및 준특정옥외저장탱크외의 탱크는 다음 각목에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

(a) 지진동에 의한 관성력 또는 풍하중에 대한 응력이 옥외저장탱크의 옆판 또는 지주의 특정한


점에 집중하지 아니하도록 당해 탱크를 견고한 기초 및 지반 위에 고정할 것

(b) (a)의 지진동에 의한 관성력 및 풍하중의 계산방법은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의할


[참고] 특정옥외저장탱크 및 준특정옥외저장탱크는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규칙 별표6 Ⅶ, Ⅷ 참조

5.6 탱크의 이상내압방출구조

(1) 옥외저장탱크는 위험물의 폭발 등에 의하여 탱크내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내


부의 가스 또는 증기를 상부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5.7 탱크의 통기장치

(1) 옥외저장탱크중 압력탱크(최대상용압력이 부압 또는 정압 5 ㎪을 초과하는 탱크를 말한다)외의


탱크(제4류 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에 한한다)에 있어서는 밸브없는 통기관 또는 대기밸브부착 통기
관을 다음 각목에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압력탱크에 있어서는 5.8 규정에 의한 안전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참고 1] API 2000(2014)에서는 인화점 60 ℃이하의 인화성 액체를 저장하거나 저장온도가 인화점을 초과하는

31
- KFS 210 -

경우, 인화성 증기공간을 함유하는 탱크 등에 대해서 대기밸브를 부착할 것을 권장하고 있음.

[참고 2] NFPA 30(2015)에서는 Class ⅠA 경우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을 설치하고, ⅠB, I C인 경우 대기밸브


를 부착하거나 화염방지기가 설치된 밸브없는 통기관을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음.

[참고 3] 본문 KFS 210 3.3.2에서는 저장되는 위험물의 증기압을 기준으로 대기밸브와 무변통기관의 설치를 구
분하고 있음.

(a) 밸브 없는 통기관

① 통기관의 지름은 30 ㎜ 이상으로 할 것.

② 선단은 수평면보다 45도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의 침투를 막는 구조로 할 것

③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장치를 할 것. 다만, 인화점 70 ℃ 이상의 위험물만을


해당 위험물의 인화점 미만의 온도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에 있어
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참고] 국내 법규에서 인화방지망에 대한 재질, 규격 등이 제시된 기준은 없다. 다만 해외기준에서는 인화방지


망을 Flame acreen으로 Flame arrester와 구분하고 있으며 Flame arrester의 경우 ISO 16852 Flame arrester,
API Publ 2210 Flame arrester, ANSI/UL 525 Standard for Flame arrester, ASTM F1273-91 Standard
Specfication for tank vent flames arrester 등에서 재질, 규격 등이 언급되고 있다. Flame screen에 대해서는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 162.016(Flame arrester for tank vessels) / 56.50-70 gasoline fuel systemsd에
서 언급되었는데 단일 망일 경우 30*30 메쉬 이상의 내식성 와이어 또는 이중망일 경우 20*20 메쉬 이상을 하
도록 규정하고 있다. 재질의 경우 메쉬망 자체는 내식성능이 있는 금속 재질로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알루미
늄, SUS 등)

④ 가연성의 증기를 회수하기 위한 밸브를 통기관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통기관


의 밸브는 저장탱크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하는 한편, 폐쇄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는 10 ㎪ 이하의 압력에서 개방되는 구조로 할 것.
이 경우 개방된 부분의 유효단면적은 777.15 ㎟ 이상이어야 한다.

(b) 대기밸브부착 통기관

① 5 ㎪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②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망을 설치할 것. 다만, 인화점 70 ℃ 이상의 위험물만을


해당 위험물의 인화점 미만의 온도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에 있어
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클래스Ⅰ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에 부착된 통기배관 선단이 건물 또는 공용도로에 인접해 있는 경


우에는, 그 통기배관 선단은 증기가 건물 바깥 안전한 지점에서 방출되게 하기 위해, 지면 위 3.6
m(12 ft) 이상 높이에 위치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통기배관 선단은 처마나 다른 장애물에 의해 갇히
게 되지 않도록 위치시켜야 하고, 건물 개구부로부터 최소 1.5m(5ft) 떨어지게 설치하여야 한다. 또
한 동력식 공기 흡입구로부터 최소 4.5 m(15 ft) 이상 이격해야 한다.
(3) 증기 회수, 증기 보존, 공기오염 방지와 같은 특수한 목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통기

32
- KFS 210 -

배관을 다분기하는 것은 금지해야한다. 통기배관이 다분기되어 있는 경우에 배관 크기는, 다분기된


모든 탱크가 같은 화재노출을 받았을 경우에 처리하여야 할 증기량을 그 탱크의 설계압력 범위 내
에서 유효하게 방출할 수 있게 설정해주어야 한다.

[참고] 탱크 통기량의 설계에 관한 NFPA의 기준(NFPA 30)은 부록 3 참조

(4) 클래스Ⅰ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통기배관은, 다음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압 수단이
설비되어있지 않다면, 클래스Ⅱ 또는 Ⅲ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통기배관과 함께 다분기되어서는
안 된다.

(a) 클래스Ⅰ액체의 증기가 클래스Ⅱ 또는 클래스Ⅲ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로 들어가는 것

(b) 오염

(c) 휘발성이 더 적은 액체의 분류에 있어서 생길 수 있는 변화

5.8 압력탱크의 안전장치


위험물을 가압하는 설비 또는 그 취급에 따라 위험물의 압력이 상승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는 압력
계 및 다음 기준에 의한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5.8(4)의 파열판은 위험물의 성질에 따라 안전
밸브의 작동이 곤란한 가압설비에 한한다.

(1) 자동적으로 압력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장치.

(2) 감압측에 안전밸브를 부착한 감압밸브

(3) 안전밸브를 병용하는 경보장치

(4) 파열판

5.9 탱크의 자동계량장치


액체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에는 위험물의 양이 자동적으로 측정될 수 있도록 기
밀부유식 계량장치, 증기가 비산하지 않는 구조의 부유식 계량장치, 전기압력작동방식 또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식에 의한 자동계량장치 또는 유리게이지(금속관으로 보호된 경질유리 등으로
되어 있고, 게이지가 파손되었을 때 위험물의 유출을 자동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장치가 되어 있는
것에 한함)를 설치하여야 한다.

5.10 탱크의 주입구 등

(1) 주입구는 화재예방상 지장이 없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주입구는 주입 또는 주입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물이 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주입구에는 밸브 또는 뚜껑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인화점이 21 ℃ 미만인 위험물의 탱크의 주입구에는 보기 쉬운 곳에 옥외저장탱크 주입구라는

33
- KFS 210 -

뜻을 표시한 표지와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을 설치하고, 휘발유, 벤젠 그 밖에
정전기에 의한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액체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의 주입구 부근에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한 접지전극을 설치하여야 한다.

(5) 5.10(4)의 표지 및 게시판은 3.6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6) 위험물을 이송함에 있어서 정전기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에


는 당해 이송설비에 대하여 다음의 기준에 맞게 접지를 하거나, 도전성 재료를 하거나 가습 및 점화
원으로 될 우려가 없는 제전장치를 사용하는 등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
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a) 대지에 일부가 매설되어 있거나 콘크리트 바닥에 앵커볼트로 고정된 탱크와 이 탱크와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 고정설비는 별도의 접지를 실시할 필
요가 없으나, 접지된 상태가 측정 등에 의해 확인되지 않는 고정설비는 접지해야 한다.

(b) 배관류는 플랜지와 플랜지에 비금속성 가스켓 등이 있거나 공정상의 이유로 배관 자체를 플
라스틱 배관이나 라이닝 처리된(또는 코팅 처리된) 배관을 사용하는 경우, 체결 부분 자체가
느슨해진 경우 접지저항을 10 옴 이하로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라이닝 처리된
배관의 경우 과도한 라이닝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전기적 접속부는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관리 및 본딩 실시가 필요하다.

[참고] 본딩 실시는 접지선을 이용하거나, 용접, 납땜, 금속선 등을 이용하여 본딩을 하고, 나사부에 볼트를 체
결하여 본딩을 할 수도 있다. 다만 볼트 체결의 경우 접속부 불량 등으로 전기적인 연속성이 어려울 수 있으
므로 주기적인 관리 및 접지저항의 측정이 권장된다.

(d) 접지선과 접지단자는 다음의 기준에 맞게 설치한다.

① 접지선은 정전기가 현저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의 경우에는 5.5 ㎟ 이상의 600 V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하고, 그 이외의 설비는 2.6 ㎜ 이상의 600 V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하
여야 하며, 점검 및 작업이 용이한 장소를 선정하여 설치한다.

② 접지단자는 기계적 강도가 크고 또한 전류에 의한 부식, 사용환경에 의한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한다.

③ 접지단자는 접지선 또는 접속기구와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금속면에 노출되어 있거


나 금속면에 나사, 너트 등으로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④ 접지단자가 절연성의 도료, 수지 등으로 오염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덮개 등으로 보호하


며, 접지단자는 가능한 한 인화성 증기가 생성되거나 체류되지 않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
다.

(7) 정상적으로 액체위험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아야 하는 액면 아래 부분에 위치한 접속부에는 밸브,


플러그 또는 맹판 등과 같이 위험물의 유입을 막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8) 클래스Ⅰ, 클래스Ⅱ, 및 클래스ⅢA 액체용으로 사용하는 탱크 주입구 또는 접속부는 건물의 외

34
- KFS 210 -

부에 어떠한 발화원도 없는 곳에 위치하여야 하고, 건물의 개구부로부터 1.5 m(5 ft)이상 떨어져 위
치하여야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닫혀져 있고 액체가 새지 않아야 한다.

(9) 탱크 등으로 위험물을 주입 하는 경우 공정상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다면 상부 주입 방식 보다


는 정전기 발생 우려가 낮은 하부 주입 방식을 따르고 주입되는 배관은 진동의 영향이 최소화되도
록 설치한다. 그 외 세부 사항은 다음을 따른다.

(a) 상부 주입 방식의 경우 인화성액체가 바닥면에서부터 채워지도록 45도 각도로 절단된 팁을


갖는 dip pipe를 설치하거나 Tee를 사용하여 바닥 근처에서 수평으로 분사되도록 설치한다.

(b) 상부 주입 방식의 경우 주입 초기에는 느린 유속으로 주입하고, dip pipe가 해당 직경의 최


소 2배가 되는 수준까지 주입될 때까지는 일반적으로 1 m/s 이하의 유속을 유지한다.

[예외1] 정상 작동 또는 운전중에는 탱크의 증기공간이 연소범위내에 있지 않거나 불활성화 되어있는 탱크 내


부로 들어가는 주입배관은 5.10(9)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아도 됨.

[예외2] 탱크안에서 정전기 축적에 필요한 최소전위를 가진 상태로 액체를 취급하는 주입 배관은, 만일 분무의
생성이 방지되게 주입배관이 설계되고 그 시스템이 작동되며, 필터나 망의 하류측에 잔류시간(정치시간이라고
도 함)이 적정한 수준으로 제공되어져서 생성된 전위가 완화되는 조건이 주어진다면, 5.10(9)의 요구조건을 충
족시키지 않아도 됨.

[참고] 예외2에서 정전기 축적 가능성이 작은 액체에는 원유, 아스팔트유, 수용성 액체 등이 있다.

5.11 펌프설비
옥외탱크저장소의 펌프설비는 3.11에서 정한 것 외에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3 m 이상의 공지를 보유하여야 한다.

[참고] 방화상 유효한 격벽(건축물 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내화구조의 것에 한함)을 설치하는 경우와 제
6류 위험물 또는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경우에는 제외함.

(2) 펌프설비와 탱크와의 사이에는 당해 옥외탱크저장소의 보유공지너비의 1/3 이상의 거리를 두어


야 한다.

5.12 배관 및 배수관

(1) 옥외탱크저장소의 배관은 3.10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2) 배관과 탱크와의 결합부분은 지진 등에 의하여 손상을 받지 않도록 완충조치를 하여야 한다.

(3) 옥외탱크저장소의 배수관은 탱크의 측면판에 설치해야 하며, 탱크와의 결합부분이 진동 등에 의


해 손상을 받지 않도록 설치한 경우에는 탱크의 아래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5.13 방유제

(1) 인화성 액체 위험물(이황화탄소는 제외)의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주위에는 다음 기준에 의하여

35
- KFS 210 -

방유제를 설치해야 한다.

(a)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하나인 때에는 그 탱크 용량의 110% 이상, 2기
이상인 때에는 그 탱크 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110% 이상으로 할 것. 이 경우 방유제
의 용량은 당해 방유제의 내용적에서 용량이 최대인 탱크 외의 탱크의 방유제 높이 이하 부
분의 용적, 당해 방유제 내에 있는 모든 탱크의 지반면 이상 부분의 기초의 체적, 간막이 둑
의 체적 및 당해 방유제 내에 있는 배관 등의 체적을 뺀 것으로 한다.

(b) 용량이 1,000만 ℓ 이상인 옥외저장탱크의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에는 다음의 규정에 따라
당해 탱크마다 간막이 둑을 설치해야 한다.

① 간막이 둑의 높이는 0.3 m(방유제 내에 설치되는 옥외저장탱크의 용량의 합계가 2억 ℓ를


넘는 방유제에 있어서는 1 m)이상으로 하되, 방유제의 높이보다 0.2 m 이상 낮게 해야 한
다.

② 간막이 둑은 흙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하고 간막이 둑의 용량은 간막이 둑안에 설치된 탱


크 용량의 10% 이상으로 한다.

(c) 방유제는 높이 0.5 m 이상 3 m 이하, 두께 0.2 m 이상, 지하매설깊이 1 m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방유제와 옥외저장탱크 사이의 지반면 아래에 불침윤성(不浸潤性)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하매설깊이를 해당 불침윤성 구조물까지로 할 수 있다.

(d) 방유제의 면적은 80,000 ㎡ 이하로 하여야 한다.

(e) 방유제내의 설치하는 옥외저장탱크의 수는 10(방유제내에 설치하는 모든 옥외저장탱크의 용


량이 20만 ℓ 이하이고, 당해 옥외저장탱크에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인화점이 70 ℃
이상 200 ℃ 미만인 경우에는 20) 이하로 하여야 한다.

[참고] 인화점이 200 ℃ 이상일 경우에는 제외함.

(f) 방유제는 철근콘크리트로 하고, 방유제와 옥외저장탱크 사이의 지표면은 불연성과 불침윤성이
있는 구조(철근콘크리트 등)로 할 것. 다만, 누출된 위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전용유조(專用油
槽) 및 펌프 등의 설비를 갖춘 경우에는 방유제와 옥외저장탱크 사이의 지표면을 흙으로 할
수 있다

(g) 방유제내에는 당해 방유제 내에 설치하는 옥외저장탱크를 위한 배관(당해 옥외저장탱크의 소


화설비를 위한 배관을 포함한다), 조명설비 및 계기시스템과 이들에 부속하는 설비 그 밖의
안전확보에 지장이 없는 부속설비 외에는 다른 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h) 방유제 내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를 설치하고, 그 외부에는 이를 개폐하는 밸브


등을 설치해야 한다.

(i) 높이가 1 m를 넘는 방유제 및 간막이 둑의 안팎에는 방유제내에 출입하기 위한 계단 또는


경사로를 약 50 m마다 설치해야 한다.
(j) 방유제의 2면 이상(원형의 경우에는 그 둘레의 1/2 이상)은 3 m 이상의 노면 폭을 가진 구내

36
- KFS 210 -

도로(옥외저장탱크가 있는 부지내의 도로)에 직접 접하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 방유제 안에 설치하는 옥외저장탱크의 용량합계가 200 ㎘ 이하이고, 소화활동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
는 3 m 이상의 노면 폭을 가진 도로 또는 공지에 접하는 경우에는 제외함.

(k) 방유제는 탱크의 지름에 따라 그 탱크의 측면으로부터 다음 기준에 의한 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인화점이 200 ℃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탱크를 제외).

① 지름이 15 m 미만인 경우에는 탱크의 높이의 1/3 이상

② 지름이 15 m 이상인 경우에는 탱크의 높이의 1/2 이상

(l) 방유제 또는 간막이 둑에는 해당 방유제를 관통하는 배관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다만, 위험
물을 이송하는 배관의 경우에는 배관이 관통하는 지점의 좌우방향으로 각 1 m 이상까지의
방유제 또는 간막이 둑의 외면에 두께 0.1 m 이상, 지하매설깊이 0.1 m 이상의 구조물을 설
치하여 방유제 또는 간막이 둑을 이중구조로 하고, 그 사이에 토사를 채운 후, 관통하는 부분
을 완충재 등으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위험물 중 인화성이 없는 액체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주위에는 5.16(1)(a),


(b), (e) 내지 (h) 및 (l)의 기준에 의하여 방유제 및 간막이 둑을 설치해야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a)의 110 %는 100 %로 본다.

(3) 방유제와 간막이 둑에 대한 기타 사항은 "KFS 735, 인화성ㆍ가연성 액체의 봉쇄 및 배출설비기


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5.14 금수성 위험물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 물질(고체에 한한다)의 옥외저장탱크에는 방수성의 불연재료로 피복하여야
한다.

5.15 이황화탄소
이황화탄소의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는 벽 및 바닥의 두께가 0.2 m 이상이고, 바닥이 새지 않는 철
근콘크리트조의 수조에 넣어 물속에 설치하여야 하며, 이 경우 보유공지, 통기장치 및 자동계량장치
는 생략할 수 있다.

제6장 옥내탱크저장소

6.1 탱크 전용실

(1) 탱크는 단층건물의 전용실에 설치해야 하며, 제2류 위험물 중 황화린, 적린 및 덩어리 유황, 제3
류 위험물 중 황린, 제6류 위험물 중 질산의 탱크는 단층이 아닌 1층 또는 지하층의 탱크 전용실에,
제4류 위험물 중 인화점이 38℃ 이상인 것을 저장, 취급하는 탱크는 단층이 아닌 건축물의 전용실에
설치할 수 있다.

37
- KFS 210 -

(2) 단층건물에 설치하는 탱크 전용실은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a) 탱크전용실은 벽ㆍ기둥 및 바닥을 내화구조로 하고, 보를 불연재료로 하며, 연소의 우려가 있
는 외벽은 출입구외에는 개구부가 없도록 할 것. 다만, 인화점이 70 ℃ 이상인 제4류 위험물
만의 옥내저장탱크를 설치하는 탱크전용실에 있어서는 연소의 우려가 없는 외벽ㆍ기둥 및 바
닥을 불연재료로 할 수 있다

(b) 지붕은 불연재료로 하고, 천장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c) 탱크전용실의 창 및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하는 동시에, 연소의 우


려가 있는 외벽에 두는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갑종방화문을 설치해야
한다.

(d) 액상위험물인 경우, 바닥은 콘크리트 기타 불침윤성 재료로 적당히 경사지게 하고, 그 최저부
에 집유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e) 탱크전용실의 출입구의 턱의 높이를 당해 탱크전용실내의 옥내저장탱크(옥내저장탱크가 2 이


상인 경우에는 최대용량의 탱크)의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 이상으로 하거나 옥내저장탱
크로부터 누설된 위험물이 탱크전용실외의 부분으로 유출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해야 한다.

(f) 탱크전용실의 창 또는 출입구에 유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망입유리로 하여야 한다.

(3) 단층이 아닌 건축물에 설치하는 탱크 전용실은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a) 벽, 기둥, 바닥, 보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며, 제6류 위험물의 경우에는 위험물이 침윤될 우
려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는 내화구조에 갈음하여 아스팔트 기타 부식하지 않는 재료로 피복
할 수 있다.

(b) 상층의 바닥을 내화구조로 하여야 한다.

(c) 상층이 없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지붕을 불연재료로 하고, 천장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d) 창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e) 탱크전용실의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갑종방화문을 설치해야 한다.

(f) 바닥 및 문턱은 5.1(2)(d) 및 (e)의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4) 내화구조,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에 관한 기타 사항은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


그리고 저장소의 바닥, 턱이나 집유설비 등에 대한 기타 사항은 "KFS 735, 인화성ㆍ가연성 액체의
봉쇄 및 배출설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6.2 탱크 등의 간격
탱크의 점검 및 보수에 지장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탱크와 탱크 전용실의 벽(기둥 등 돌출된

38
- KFS 210 -

부분은 제외) 및 탱크 상호간에는 0.5 m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6.3 탱크의 용량
탱크 전용실에 설치하는 탱크의 용량(하나의 탱크 전용실에는 2개 이상의 탱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탱크용량의 합계)은 1층 이하의 층에 있어서는 지정수량의 40배(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 외의
것으로서 당해 수량이 2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20 ㎘) 이하, 2층 이상의 층에 있어서는 1 ㎘ 이
하로 하여야 한다. 층에 있어서는 지정수량의 10배(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 외의 제4류 위험물에
있어서 당해 수량이 5천 ℓ를 초과할 때에는 5천 ℓ) 이하여야 한다.

6.4 통기장치
옥내저장탱크 중 압력탱크(최대상용압력이 부압 또는 정압 5 ㎪을 초과하는 탱크를 말한다)외의 탱
크(제4류 위험물의 옥내저장탱크로 한정한다)에 있어서는 밸브 없는 통기관 또는 대기밸브 부착 통
기관을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고 압력탱크에 있어서는 5.8 규정에 의한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6.4.1 밸브 없는 통기관

(1) 통기관의 선단은 건축물의 창ㆍ출입구 등의 개구부로부터 1 m 이상 떨어진 옥외의 장소에 지면


으로부터 4 m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되, 인화점이 40 ℃ 미만인 위험물의 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에
있어서는 부지경계선으로부터 1.5 m 이상 이격할 것. 다만, 고인화점 위험물만을 100 ℃ 미만의 온
도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은 그 선단을 탱크전용실 내에 설치할 수 있다.

(2) 통기관은 가스 등이 체류하지 않도록 굴곡이 없도록 할 것.

(3) 상기(1), (2)이외 사항은 5.7.(1) (a)를 따른다.

6.4.2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

(1) 상기 6.4.1의 (1) 및 (2)를 따르는 것 이외 5.7.(b)를 따른다.

(2) 통기관은 가스 등이 체류하지 않도록 굴곡이 없도록 할 것

6.5 펌프설비

(1) 탱크 전용실이 있는 건축물 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펌프설비는 3.11(1)~(14)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


해야 한다.

(2) 단층인 건축물 안에 설치하는 옥내저장탱크의 펌프설비를 탱크 전용실이 있는 건축물에 설치하


는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a) 탱크 전용실 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3.11(1) 내지 (6) 및 (8) 내지 (14)의 기준에 준하
여 설치해야 하며, 펌프실의 지붕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할 수 있다.

(b) 탱크 전용실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펌프설비를 견고한 기초 위에 고정시킨 다음, 그 주위에


불연재료로 된 턱을 탱크 전용실의 문턱 높이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39
- KFS 210 -

[참고] 펌프설비의 기초를 탱크 전용실의 문턱 높이 이상으로 하는 경우를 제외함.

(3) 단층이 아닌 건축물 안에 설치한 옥내저장탱크의 펌프설비를 탱크 전용실이 있는 건축물에 설치


하는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a) 탱크 전용실 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① 펌프실은 6.1(3)(a) 내지 (e)의 기준에 적합하게 할 것.

② 가연성 증기가 체류할 우려가 있는 펌프실에는 그 증기를 옥외의 높은 곳에 배출하는 설


비를 설치할 것.

③ 펌프실의 환기 및 배출설비에는 방화댐퍼를 설치할 것.

④ 3.11(5), (6) 및 (8) 내지 (14)의 기준에 적합하게 할 것.

(b) 탱크 전용실에 펌프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견고한 기초 위에 고정한 다음, 그 주위에는


불연재료로 된 턱을 0.2 m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는 등 누출된 위험물이 유출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조치를 할 것.

(4) 내화구조,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에 관한 기타 사항은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


그리고 저장소의 바닥, 턱이나 저유설비 등에 대한 기타 사항은 "KFS 735, 인화성ㆍ가연성 액체의
봉쇄 및 배출설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6.6 표지 및 게시판 등

(1) 옥내탱크저장소의 표지 및 게시판, 채광, 조명 및 환기설비, 배출설비(인화점이 70 ℃ 미만인 위


험물에 한함), 안전장치 및 전기설비는 3.6, 3.8, 3.9 및 5.8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해야 한다.

(2) 옥내탱크저장소의 탱크의 외부구조, 탱크의 부식방지조치, 자동계량장치 및 주입구, 배관 및 배수


관, 금속의 사용제한, 보냉장치 및 불활성기체 봉입장치는 5.4, 5.9, 5.10, 5.12 내지 5.14의 기준에 준
하여 설치해야 한다.

제7장 지하탱크저장소

7.1 탱크

7.1.1 탱크는 지면(건축물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의 최저부의 바닥) 밑에 설치된 탱크 전용실
에 설치해야 하며, 제4류(특수인화물류 중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프로필렌은 제외함) 위험물의 탱크를
다음 기준의 (a) 내지 (e)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a) 탱크를 지하철ㆍ지하가 또는 지하터널로부터 수평거리 10 m 이상이 되는 곳에 설치하거나

40
- KFS 210 -

지하 건축물 내의 장소에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b) 당해 탱크를 그 수평투영의 세로 및 가로보다 각각 0.6 m 이상 크고 두께가 0.3 m 이상인


철근콘크리트조의 뚜껑으로 덮어야 한다.

(c) 뚜껑에 걸리는 중량이 직접 당해 탱크에 걸리지 아니하는 구조여야 한다.

(d) 당해 탱크를 견고한 기초 위에 고정하여야 한다.

(e) 당해 탱크를 지하의 가장 가까운 벽ㆍ피트ㆍ가스관 등의 시설물 및 대지경계선으로부터 0.6


m 이상 떨어진 곳에 매설해야 한다.

7.1.2 지하저장탱크의 외면은 다음 각목에 정하는 바에 따라 보호하여야 한다. 다만, 지하저장탱크의


재질이 부식의 우려가 없는 스테인레스 강판 등인 경우에는 방청도장을 하지 않을 수 있다.

(1) 탱크전용실에 설치하는 지하저장탱크의 외면은 다음의 1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보호해야 한다.

(a) 탱크의 외면에 방청도장을 할 것

(b) 탱크의 외면에 방청제 및 아스팔트프라이머의 순으로 도장을 한 후 아스팔트 루핑 및 철망의


순으로 탱크를 피복하고, 그 표면에 두께가 2 ㎝ 이상에 이를 때까지 모르타르를 도장할 것.
이 경우에 있어서 다음에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① 아스팔트루핑은 아스팔트루핑(KS F 4902)(35 ㎏)의 규격에 의한 것 이상의 성능이 있을 것

② 철망은 와이어라스(KS F 4551)의 규격에 의한 것 이상의 성능이 있을 것

③ 모르타르에는 방수제를 혼합할 것. 다만, 모르타르를 도장한 표면에 방수제를 도장하는 경


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c) 탱크의 외면에 방청도장을 실시하고, 그 표면에 아스팔트 및 아스팔트루핑에 의한 피복을 두


께 1㎝에 이를 때까지 교대로 실시할 것. 이 경우 아스팔트루핑은 (b) 1)의 기준에 적합하여
야 한다.

(d) 탱크의 외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고, 그 표면에 복장재를 휘감은 후 에폭시수지 또는 타르에
폭시수지에 의한 피복을 탱크의 외면으로부터 두께 2 ㎜ 이상에 이를 때까지 실시할 것. 이
경우에 있어서 복장재는 수도용 강관아스팔트도복장방법(KS D 8306)으로 정하는 비닐론클로
스 또는 헤시안클래스에 적합하여야 한다.

(e) 탱크의 외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고, 그 표면에 유리섬유 등을 강화재로한 강화플라스틱에


의한 피복을 두께 3 ㎜ 이상에 이를 때까지 실시해야 한다.

(2) 탱크전용실 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지하저장탱크의 외면은 (1)의 (b) 내지 (d)의 1에 해당하는 방
법으로 보호해야 한다.
7.1.3 탱크전용실은 벽ㆍ바닥 및 뚜껑을 다음 각 목에 정한 기준에 적합한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41
- KFS 210 -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가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1) 벽ㆍ바닥 및 뚜껑의 두께는 0.3 m 이상일 것

(2) 벽ㆍ바닥 및 뚜껑의 내부에는 직경 9 ㎜부터 13 ㎜까지의 철근을 가로 및 세로로 5 ㎝부터 20


㎝까지의 간격으로 배치할 것

(3) 벽ㆍ바닥 및 뚜껑의 재료에 수밀콘크리트를 혼입하거나 벽ㆍ바닥 및 뚜껑의 중간에 아스팔트층
을 만드는 방법으로 적정한 방수조치를 할 것

7.2 탱크의 매설

(1) 탱크는 본체 윗부분이 지면(건축물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의 최저부의 바닥을 말함)으로부
터 0.6 m 이상의 깊이가 되도록 매설하여야 하고, 탱크 또는 탱크전용실은 지하의 가장 가까운 0한다.

(a) 탱크(탱크전용실에 설치하는 것은 제외) : 0.6 m 이상

(b) 탱크전용실 : 0.1 m 이상

(2) 탱크전용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상․하․좌․우의 내벽과 탱크와의 사이에 0.1 m 이상의 간
격을 두고, 탱크실 내부에는 마른 모래 또는 습기 등에 의하여 응고되지 않는 입자지름 5 ㎜ 이하인
마른 자갈분을 채워야 한다.

(3) 2개 이상의 탱크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상호간에 1 m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하며, 2
개 이상의 탱크의 용량의 합계가 지정수량의 100배 이하일 때에는 그 상호간의 간격은 0.5 m 이상
으로 할 수 있다. 다만, 그 사이에 탱크전용실의 벽이나 두께 20 ㎝ 이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7.3 탱크의 구조 등

(1) 지하탱크저장소의 탱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a) 탱크본체는 두께 3.2 ㎜ 이상의 강철판으로 완전용입용접 또는 양면겹침이음용접을 하여 틈


이 없도록 제작할 것

(b) 수압시험(압력탱크에 있어서는 최대상용압력의 1.5배의 압력으로, 압력탱크외의 탱크에 있어서


는 0.7 ㎏f/㎠의 압력으로 10분간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는 것을 확인하는 시험
을 말한다)을 실시하거나, 기밀시험(압력탱크에 한함)과 비파괴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
지 아니할 것.

(2) 강제강화플라스틱제 이중벽탱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a) 탱크본체는 두께 3.2 ㎜ 이상의 강철판으로 틈이 없도록 제작하고 탱크본체의 외측에는 두께


3밀리미터 이상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피복하여 외벽을 만들
것. 본체(위험물의 최고액면을 초과하는 부분은 제외함)와 외벽의 사이에는 누설된 위험물을

42
- KFS 210 -

감지할 수 있도록 틈(이하 “감지층”이라 함)을 두어야 한다.

(b) 탱크본체에 대하여 7.3(1)(b)의 규정에 의한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할 것

(3) 강화플라스틱제 이중벽탱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a) 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든 탱크본체의 외측에 감지층을 두고 강화플라스틱으로 피복하여 외벽을
만들 것. 이 경우 탱크본체와 외벽은 일체로 되어 당해 이중벽탱크에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고 다음의 각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① 토압 등에 의한 외압 및 저장액체의 압력 등에 의한 내압에 대하여 외벽 및 탱크본체는


각각 하중을 분담하도록 할 것.

② 감지층은 토압 등에 의하여 탱크본체와 외벽이 접착하는 등 감지기능에 영향을 받지 아니


하도록 할 것.

(b)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압력변화가 없고 다음 ①, ②에 의한 수압을 작용시킨 시험에서 변형


또는 파열이 없을 것.

① 내부수압 : 압력탱크에 있어서는 최대상용압력의 1.5 배이상의 압력, 압력탱크외의 탱크


에 있어서는 1.7 ㎏f/㎠(직경이 3 m 이상인 탱크의 경우에는 1.0 ㎏f/㎠)의 압력

② 외부수압 : 탱크 윗부분이 수면에서 0.9 m 이하에 있는 경우에 당해 탱크에 작용하는 압력

(c) 탱크본체의 손상 등에 의하여 감지층에 위험물이 누설되거나 강화플라스틱의 손상 등에 의하


여 지하수가 감지층에 침투하는 현상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장치를 설치할

(4) 강제 이중벽탱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a) 탱크본체 및 외벽(탱크본체에 강철판을 덧씌워 만든 벽을 말함. 이하 같음)은 각각 두께 3.2


㎜ 이상의 강철판으로 하고 완전용입용접 또는 양면겹침이음용접으로 틈이 없도록 제작할
것.

(b) 누설되는 위험물 감지할 수 있도록 탱크본체와 외벽의 사이에 3 ㎜ 이상의 감지층을 둘 것.

(c) 탱크본체에는 7.3(2)(b)의 규정에 의한 시험을 실시하고 감지층에는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누설


되거나 변형되지 아니할 것.

7.4 계량장치
액체위험물의 지하저장탱크에는 위험물의 양을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계량구를 설치하고, 계
량구 직하에 있는 탱크의 밑판에 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7.5 배관

(1) 배관은 당해 탱크의 윗부분에 설치해야 한다.

43
- KFS 210 -

[참고] 제4류 위험물 중 제2석유류로서 인화점이 40 ℃ 이상인 것, 제3석유류,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의 탱


크에 있어서는 그 직근에 유효한 제어밸브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함.

(2) 액체위험물의 지하저장탱크의 주입구는 5.10 규정에 의한 옥외저장탱크의 주입구의 기준을 준용


하여 옥외에 설치하여야 한다.

(3) 배관의 재질 및 방식조치는 3.10의 기준에 준하여야 한다.

7.6 누유검사관

(1) 액체위험물의 탱크실 전용실 이중벽탱크를 설치한 것은 제외함)에는 탱크로부터 위험물이 새는


것을 검사하기 위해 다음 기준에 적합한 관을 탱크 1개에 대하여 4개 이상을 적당한 곳에 설치해야
한다.

(a) 이중관으로 하여야 하며, 소공이 없는 상부는 단관으로 할 수 있다.

(b) 재료는 금속관 또는 경질합성수지관으로 하여야 한다.

(c) 관은 탱크전용실의 바닥 또는 탱크의 기초까지 닿게 하여야 한다.

(d) 관의 밑 부분으로부터 탱크의 중심 높이까지의 부분에는 소공이 뚫려있어야 하며, 지하수위


가 높은 장소에 있어서는 지하수위의 부분에 소공이 뚫려있어야 한다.

(e) 상부는 물이 침투하지 않는 구조로 하고, 뚜껑은 검사 시에 쉽게 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7.7 맨홀

(1) 맨홀은 지면까지 올라오지 아니하고, 가능한 한 낮게 하여야 한다.

(2) 보호틀은 다음 기준에 의하여 설치해야 한다.

(a) 보호틀을 탱크에 용접할 것.

(b) 보호틀의 뚜껑에 걸리는 하중이 직접 보호통에 걸리지 않도록 설치하고, 빗물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할 것.

(3) 배관이 보호틀을 통과하는 부분은 용접을 하는 등 침수를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7.8 펌프설비

(1) 펌프설비(펌프 또는 전동기를 지하저장탱크 안에 설치하는 것은 제외)의 기준은 3.11(1) 내지 (14)


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2) 펌프 또는 전동기를 지하저장탱크안에(액중펌프설비) 설치하는 경우는 다음 기준에 따라야 한다.

44
- KFS 210 -

(a) 고정자는 위험물에 침투되지 아니하는 수지가 충전된 금속제의 용기에 수납되어 있을 것

(b) 운전 중에 고정자가 냉각되는 구조로 할 것

(c) 전동기의 내부에 공기가 체류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d) 전동기에 접속되는 전선은 위험물이 침투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하고, 직접 위험물에 접하지
아니하도록 보호할 것

(e) 액중펌프설비는 체절운전에 의한 전동기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강구될 것

(f) 액중펌프설비는 다음의 경우에 있어서 전동기를 정지하는 조치가 강구될 것

① 전동기의 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한 경우

② 펌프의 흡입구가 노출된 경우

(g) 액중펌프설비는 다음에 의하여 설치할 것

① 액중펌프설비는 지하저장탱크와 플랜지접합으로 할 것

② 액중펌프설비중 지하저장탱크내에 설치되는 부분은 보호관 내에 설치할 것. 다만, 당해 부


분이 충분한 강도가 잇는 외장에 의하여 보호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

③ 액중펌프설비중 지하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분은 위험물의 누설을 점검할 수 있는


조치가 강구된 안전상 필요한 강도가 있는 피트내에 설치할 것

7.9 통기관 및 안전장치


통기관은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하며, 지하저장탱크 중 압력탱크의 경우에는 5.8의 기준에
적합하게 안전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1) 통기관은 지하저장탱크의 상부에 연결해야 한다.

(2) 통기관 중 지하에 매설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부 지면에서 미치는 중량이 통기관에 직접 미
치지 않도록 보호하고, 당해 통기관의 접합부분(용접에 의한 접합부분은 제외)에 대하여는 손상 유
무를 점검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3) 기타 사항은 5.7 통기장치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7.10 표지 및 게시판 등

(1) 표지 및 게시판은 3.6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2) 주입구는 5.10(1) 내지 (5)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45
- KFS 210 -

제8장 간이탱크저장소

8.1 설치장소
다음 기준에 적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간이탱크저장소의 탱크는 옥외에 설치해야 한다.

(1) 6.1(2)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2) 3.8 및 3.9의 기준에 적합하게 채광, 조명설비와 환기 또는 배출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8.2 탱크의 수 및 용량

(1)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탱크는 3개 이하로 하고, 동일한 품질의 탱크를 2개 이상 설
치해서는 안 된다.

(2) 간이탱크저장소의 1개의 탱크의 용량은 600 ℓ 이하로 하여야 한다.

8.3 탱크의 설치방법


탱크는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지면 또는 가설대에 고정시키고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탱크의 주위에 너비 1 m 이상의 공지를 두어야 하며, 전용실 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탱크와 전용
실의 벽과의 사이에 0.5 m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8.4 탱크의 구조

(1) 탱크는 두께 3.2 ㎜ 이상의 강철판으로 틈이 없도록 제작해야 하며, 비파괴시험을 실시하여 합격
하거나 0.7 ㎏f/㎠의 압력으로 10분간의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2) 탱크의 외면에는 방청도장을 하여야 한다. 다만, 탱크의 재질이 부식의 우려가 없는 스테인레스
강판 등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8.5 통기장치
간이저장탱크에는 다음에 따른 기준에 적합한 밸브 없는 통기관 또는 대기밸브부착 통기관을 설치
하여야 한다.

8.5.1 밸브 없는 통기관

(1) 통기관의 지름은 25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통기관은 옥외에 설치하되, 그 선단의 높이는 지상 1.5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45도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장치를 해야 한다. 다만, 인화점 70 ℃ 이상의 위험물만을 해

46
- KFS 210 -

당 위험물의 인화점 미만의 온도로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에 있어서는 그러하
지 아니하다.

8.5.2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

(1) 8.5.1의 (2) 및 (4)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2) 5 ㎪ 이하의 압력차이로 작동하여야 한다.

8.6 주유설비
간이저장탱크에 고정주유설비 또는 고정급유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3 규정에 의한 고정주유설비 또는 고정급유설비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8.7 표지 및 게시판
표지 및 게시판은 3.6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제9장 이동탱크저장소

9.1 상치장소
이동탱크저장소의 상치장소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1) 옥외에 있는 상치장소는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 또는 인근의 건축물로부터 5 m 이상(인근의 건축


물이 1층인 경우에는 3 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할 것.

[참고] 하천의 공지나 수면,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의 담 또는 벽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에 접하는 경우 제외함.

(2) 옥내에 있는 상치장소는 벽․바닥․보․서까래 및 지붕이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


의 1층에 설치할 것.

9.2 탱크의 구조

(1) 이동탱크 저장소의 탱크의 구조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a) 탱크(맨홀 및 주입관의 뚜껑을 포함한다)는 두께 3.2 ㎜ 이상의 강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


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이 있다고 소방청장이 인정하여 고시하는 것으로 위험물이 새지
아니하게 제작할 것.

(b) 압력탱크외의 탱크는 비파괴시험을 실시하여 합격하거나, 0.7 ㎏f/㎠의 압력으로 10분간의 수
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할 것.

(c) 압력탱크는 기밀시험 및 비파괴시험을 실시하여 합격하거나, 최대상용압력의 1.5배의 압력으


로 10분간의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할 것.

47
- KFS 210 -

(2)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탱크의 구조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한다.

(a) 탱크(맨홀 및 주입관의 뚜껑을 포함한다)는 두께 3.2 ㎜ 이상의 강철판으로 위험물이 새지 아


니하게 제작하고, 불활성 기체를 봉입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b) 산화프로필렌의 탱크 및 보냉장치가 있는 아세트알데히드의 탱크는 기밀시험 및 비파괴시험


을 실시하여 합격하거나, 0.7 ㎏f/㎠의 압력으로 10분간의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
되지 아니할 것.
(c) 보냉장치가 없는 아세트알데히드의 탱크는 기밀시험 및 비파괴시험을 실시하여 합격하거나,
1.3 ㎏f/㎠의 압력으로 10분간의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할 것.

(3) 이동탱크저장소의 탱크는 그 내부에 4,000 ℓ 이하마다 3.2 ㎜ 이상의 강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


상의 강도․내열․내식성이 있는 금속성의 것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고체인 위험물
을 저장하거나 고체인 위험물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9.2(3)의 규정에 의한 칸막이로 구획된 각 부분마다 맨홀과 다음의 기준에 의한 안전장치 및
방파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참고] 칸막이로 구획된 부분의 용량이 2,000 ℓ 미만인 부분에는 방파판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음

(a) 안전장치 : 상용압력이 0.2 ㎏f/㎠ 이하인 탱크에 있어서는 0.2 ㎏f/㎠ 이상 0.24 ㎏f/㎠ 이하
의 압력에서, 상용압력이 0.2 ㎏f/㎠을 초과하는 탱크에 있어서는 상용압력의 1.1 배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할 것.

(b) 방파판

① 두께 1.6 ㎜ 이상의 강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열․내식성이 있는 금속성의


것.

② 하나의 구획부분에 2개 이상의 방파판을 이동탱크저장소의 진행방향과 평행으로 설치하되,


각 방파판은 그 높이 및 칸막이로부터 거리를 다르게 할 것.

③ 하나의 구획부분에 설치하는 각 방파판의 면적의 합계는 당해 구획부분의 최대 수직 단면


적의 50 % 이상을 할 것.

[참고] 수직단면이 원형이거나 짧은 지름이 1 m 이하의 타원형일 경우에는 40% 이상으로 할 수 있음.

(5) 맨홀, 주입구 및 안전장치 등이 탱크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탱크에 있어서는 다음 각호의 기
준에 의하여 부속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틀 및 방호틀을 설치하여야 한다.

[참고] 피견인 자동차에 고정된 탱크에는 측면틀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음.

(a) 측면틀
① 탱크 뒷부분의 입면도에 있어서 측면틀의 최외측과 탱크의 최외측을 연결하는 직선(이하

48
- KFS 210 -

이조에서 “최외측선”이라 함)의 수평면에 대한 내각이 75 도 이상이고, 최대수량의 위험


물을 저장한 상태에 있을 때의 당해 탱크중량의 중심점과 측면틀의 최외측을 연결하는
직선과, 그 중심점을 지나는 직선중 최외측선과 직각을 이루는 직선과의 내각이 35 도 이상
이 되도록 할 것.

② 외부로부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③ 탱크상부의 네모퉁이에 당해 탱크의 전단 또는 후단으로부터 각각 1 m 이내의 위치에 설


치할 것.
④ 측면틀에 걸리는 하중에 의하여 탱크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측면틀의 부착부분에 받침판
을 설치할 것.

(b) 방호틀

① 두께 2.3 ㎜ 이상의 강철판으로 산모양의 형상으로 하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가 있


는 형상으로 할 것.

② 정상부분을 부속장치보다 50 ㎜ 이상 높게 하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 할


것.

(6) 탱크의 외면에는 방청도장을 하여야 한다. 다만, 탱크의 재질이 부식의 우려가 없는 스테인레스
강판 등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9.3 탱크의 밸브 및 폐쇄장치

(1) 이동저장탱크의 아래부분에 배출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탱크의 배출구에 밸브(이하 “배출
밸브”라 함)를 설치하고 비상시에 직접 당해 배출밸브를 폐쇄할 수 있는 수동폐쇄장치 또는 자동
폐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9.3(1)의 규정에 의한 수동식폐쇄장치에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하게 레버를 설치하고, 그 바로 옆


에는 레버의 표시와 잡아당긴다는 취지의 표시를 같이 하여야 한다.

(a) 손으로 잡아당겨 수동폐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할 것

(b) 길이는 15 ㎝ 이상으로 할 것

(3) 9.3(1)의 규정에 의하여 배출밸브를 설치하는 경우, 그 배출밸브에 대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를 하여야 한다.

(4) 탱크의 배관의 선단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9.4 금속의 사용제한


아세트알데히드등의 탱크의 설비는 은․수은․동․마그네슘 또는 은․수은․동․마그네슘을 함유한
합금을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49
- KFS 210 -

9.5 결합금속구 등

(1) 이동탱크저장소의 액체위험물 탱크의 주유호스는 탱크의 주입구와 결합할 수 있는 금속구를 사


용하되, 그 결합금속구 등(제6류 위험물의 탱크의 것을 제외함)은 놋쇠 기타 마찰 등에 의하여 불꽃
이 생기지 아니하는 재료로 하여야 한다.

(2) 이동탱크저장소에 주유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a) 위험물이 샐 우려가 없고 화재예방상 안전한 구조로 할 것

(b) 주유관(선단의 개폐밸브를 포함한다)의 길이는 50 m 이내로 하고, 그 선단에 축적되는 정전


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할 것

(c) 분당 토출량은 200 ℓ 이하로 할 것

9.6 표지 및 게시판

(1) 이동탱크 저장소에는 그 뒷면 보기 쉬운 곳에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유별, 품명 및 최대


수량 및 적재중량을 표시하되, 표시문자의 크기는 가로 45 ㎜, 세로 40 ㎜ 이상(혼재할 수 있는 위험
물의 경우 적재품명별 문자의 크기는 가로 20 ㎜, 세로 20 ㎜를 표준으로 함)으로 하고, 차량의 전후
방의 보기 쉬운 곳에 사각형(한 변의 길이가 0.6 m, 다른 변의 길이가 0.3 m)의 흑색 바탕에 황색
의 반사도료 기타 반사성이 있는 재료로 “위험물”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이동탱크저장소의 탱크외부에는 위험물의 종별로 구분하여 도장을 하고 보기 쉬운 곳에 9.1의


규정에 의한 상치장소의 위치를 표시하여야 한다.

9.7 펌프설비

(1) 이동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펌프설비는 당해 이동탱크저장소의 차량구동용엔진(피견인식 이동탱크


저장소의 견인부분에 설치된 것은 제외한다)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위험물을 이송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기준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의 모터펌프를 설치할 수 있다.

(a) 저장 또는 취급가능한 위험물은 인화점 40 ℃ 이상의 것 또는 비인화성의 것에 한할 것

(b) 화재예방상 지장이 없는 위치에 고정하여 설치할 것

(2) 피견인식 이동탱크저장소의 견인부분에 설치된 차량구동용 엔진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위험물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a) 견인부분에 작동유탱크 및 유압펌프를 설치하고, 피견인부분에 오일모터 및 펌프를 설치할


(b) 트랜스미션(Transmission)으로부터 동력전동축을 경유하여 견인부분의 유압펌프를 작동시키


고 그 유압에 의하여 피견인부분의 오일모터를 경유하여 펌프를 작동시키는 구조일 것

50
- KFS 210 -

(3) 이동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펌프설비는 당해 이동저장탱크로부터 위험물을 토출하는 용도에 한한다.


다만, 폐유의 회수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이동탱크저장소에는 다음의 각목의 기준에 의하여 진공흡입방식
의 펌프를 설치할 수 있다.

(a) 저장 또는 취급가능한 위험물은 인화점이 70 ℃ 이상인 폐유 또는 비인화성의 것에 한할 것

(b) 감압장치의 배관 및 배관의 이음은 금속제일 것. 다만, 완충용이음은 내압 및 내유성이 있는


고무제품을, 배기통의 최상부는 합성수지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c) 호스 선단에는 돌 등의 고형물이 혼입되지 아니하도록 망 등을 설치할 것

(d) 이동저장탱크로부터 위험물을 다른 저장소로 옮겨 담는 경우에는 당해 저장소의 펌프 또는


자연하류의 방식에 의하는 구조일 것

제10장 옥외저장소

10.1 설치장소

(1) 4.1의 기준에 준하여 다른 건축물 등에 대한 안전거리를 두어야 한다.

(2) 습기가 없고 배수가 잘되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3)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의 주위에는 경계표시(울타리의 기능이 있는 것에 한한다)를 하여 명확하


게 구분해야 한다.

(4) 덩어리 상태의 유황만을 경계표시의 안쪽에 저장할 경우 다음 기준에 따른다.

(a) 하나의 경계표시의 내부의 면적은 100 ㎡ 이하일 것

(b) 2 이상의 경계표시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의 경계표시 내부의 면적을 합산한 면적
은 1,000 ㎡ 이하로 하고, 인접하는 경계표시와 경계표시와의 간격을 제9.2의 규정에 의한 공
지의 너비의 2분의 1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
량의 200배 이상인 경우에는 10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c) 경계표시는 불연재료로 만드는 동시에 유황이 새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d) 경계표시의 높이는 1.5 m 이하로 할 것

(e) 경계표시에는 유황이 넘치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천막 등을 고정하는 장치를 설


치하되, 천막 등을 고정하는 장치는 경계표시의 길이 2 m마다 한 개 이상 설치할 것

(d) 유황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의 주위에는 배수구와 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51
- KFS 210 -

(5) 액체위험물을 저장하는 경우, 바닥은 콘크리트 기타 불침윤재료로 1% 이상 경사지게 하고, 저장


위험물이 직접 배수구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유분리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단, 수용성 위험물만을
저장할 경우에는 유분리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음).

10.2 보유공지

(1) 옥외저장소의 주위에는 그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저장량에 따라 표 10-1에 의한 너


비의 공지를 보유해야 한다.

(2) 제4류 위험물 중 제4석유류와 제6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외저장소의 보유공지는 표


10-1에 의한 공지너비의 1/3 이상의 너비로 할 수 있다.

표 10-1 옥외저장소의 보유공지

최대저장량 공지의 너비 최대저장량 공지의 너비

지정수량의 50배 초과
지정수량의 10배 미만 3 m 이상 12 m 이상
200배 이하
지정수량의 10배 초과
5 m 이상 지정수량의 200배 초과 15 m 이상
20배 이하
지정수량의 20배 초과
9 m 이상
50배 이하

10.3 표지 및 게시판

(1) 옥외저장소에는 그 보기 쉬운 곳에 위험물옥외저장소라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설치하고,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 및 취급하는 위험물에 따른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을 설치
하여야 한다.

(2) 표지 및 게시판은 3.6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10.4 선반 등 구조물

(1) 선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a) 선반은 불연재료로 하고,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b) 선반은 저장하는 위험물의 하중, 풍력, 지진 등의 재해에 견딜 수 있는 안전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c) 선반의 높이는 위험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6 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2) 과산화수소 또는 과염소산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에는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천막 등을 설치하


여 햇빛을 가려야 한다.

52
- KFS 210 -

(3) 눈ㆍ비 등을 피하거나 차광 등을 위하여 옥외저장소에 캐노피 또는 지붕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환기 및 소화활동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이 경우 기둥은 내화구조로 하고, 캐노피
또는 지붕을 불연재료로 하며, 벽을 설치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제11장 암반탱크저장소

11.1 암반탱크 등

(1) 암반탱크는은 다음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a) 암반탱크는 암반투수계수가 10- 5m/sec 이하인 천연암반 내에 설치해야 한다.

(b) 암반탱크는 저장할 위험물의 증기압을 억제할 수 있는 지하수면하에 설치해야 한다.

(c) 암반탱크의 내벽은 암반균열에 의한 낙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볼트, 콘크리트 등으로 보강해
야 한다.

(2) 암반탱크는 다음 기준에 적합한 수리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a) 암반탱크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양은 암반 내의 지하수 충전량보다 적어야 한다.

(b) 저장소의 상부로 물을 주입하여 수압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수벽공을 설치해야 한다.

(c) 저장소에 가해지는 지하수압은 저장소의 최대운영압력보다 항상 크게 유지하여야 한다.

11.2 지하수위 관측공의 설치


저장소의 주위에는 지하수위 및 지하수의 흐름 등을 확인, 통제할 수 있는 관측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11.3 계량장치
액체위험물을 저장하는 저장소에는 위험물의 양과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계량구와 자동측정이 가능한 계량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1.4 배수시설
저장소에는 주변 암반으로부터 유입되는 침출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되, 당해
위험물이 직접 배수구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유분리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11.5 펌프설비
펌프설비는 점검 및 보수를 위해 사람의 출입이 용이한 구조의 전용공동에 설치해야 한다(펌프 또는
전동기를 저장탱크 또는 저장공동 안에 설치하는 액중펌프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

11.6 표지 및 게시판 등
지하암반저장소의 표지 및 게시판, 압력계 및 안전장치, 정전기 제거설비, 배관, 탱크의 주입구는

53
- KFS 210 -

3.6, 3.8, 3.13, 3.16 및 5.10의 기준에 준하여 설치해야 한다.

제12장 방화시설

12.1 방화시설
위험물저장시설에 대한 방화기준은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을 따른다.

제13장 참고문헌

1.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2019

2. KFS 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 2017

3. KFS 223, 위험물저장탱크 과충전방지기준, 2018

4. KFS 421, 피뢰설비 설치기준, 1998

5. KFS 735, 인화성ㆍ가연성 액체의 봉쇄 및 배출설비기준, 2018

6. API 650, Welded Steel Tanks for Oil Storage, 2007

7. API 575, Inspection of Atmospheric and Low-Pressure Storage Tank, 2014

8. API 620, Recommended Rule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Large, Welded, Law-Pressure
Storage Tanks, 2002

9. API Std 2000, Venting Atmospheric and Low-Pressure Storage Tanks, 2014

10. FM 7-32, Ignitable Liquid Operations, 2018

11. FM 7-49, Emergency Venting of Vessels, 2016

12. FM 7-83, Drainage and Containment Systems for Ignitable Liquids, 2015

13. FM 7-88, Ignitable Liquid Storage Tanks, 2018

15. NFPA 30,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2015

54
- KFS 210 -

부록 1 위험물저장소의 안전거리의 단축기준

1.1 방화상 유효한 벽을 설치한 경우의 안전거리는 다음 표와 같다.


(단위 : m)
안전거리 (이상)
최대수량
구 분 주거용 학 교.
(지정수량의 배수) 문화재
건축물 유치원
5배 미만 4.0 12.0 23.0
옥내저장소(취급하는 위험물의 양이
5배 이상 10배 미만 4.5 12.0 23.0
주거지역에 있어서는 지정수량의 120배,
10배 이상 20배 미만 5.0 14.0 26.0
상업지역에 있어서는 150배, 공업지역에
20배 이상 50배 미만 6.0 18.0 32.0
있어서는 200배 이상인 것을 제외)
50배 이상 200배 미만 7.0 22.0 38.0
옥외탱크저장소(취급하는 위험물의 양이 500배 미만 6.0 18.0 32.0
주거지역에 있어서는 지정수량의 600배,
상업지역에 있어서는 700배, 공업지역에 500배 이상
7.0 22.0 38.0
있어서는 1,000배 이상인 것을 제외) 1,000 배 미만
옥외저장소(취급하는 위험물의 양이 10배 미만 6.0 18.0 32.0
주거지역에 있어서는 지정수량의 10배,
상업지역에 있어서는 15배, 공업지역에
10배 이상 20배 미만 8.5 25.0 44.0
있어서는 20배 이상인 것을 제외)

1.2 방화상 유효한 벽의 높이는 다음에 의하여 산정한 높이 이상으로 한다.

가. H ≤ PD2 + a인 경우, h = 2
나. H > PD2 + a인 경우, h = H - P (D2-d2)
다. “가” 및 “다”에서 D, H, a, b, h 및 P는 다음과 같다.

D : 제조소 등과 인접 건축물과의 거리 (m)


H : 인접건물의 높이 (m)
a : 제조소 등의 높이 (m)
d : 제조소 등과 방화상 유효한 벽과의 거리 (m)
h : 방화상 유효한 벽의 높이 (m)
p : 상수

55
- KFS 210 -

구 분 저장소의 높이 비 고

벽체가 내화구조로 되어있고, 인접축에 면한 개


구부가 없거나, 개구부에 갑종방화문이 있는 경우

벽체가 내화구조이고, 개구부에 갑종방화문이 없는


경우





벽체가 내화구조 외의 것으로 된 경우

옮겨 담는 작업장 기타 공작물

옥 옥외에 있는 탱크 (종형)




장 옥외에 있는 탱크 (횡형). 다만, 탱크 내의 증기를
소 상부로 방출하는 구조로 된 것은 탱크의 최상단까지
의 높이로 한다.





56
- KFS 210 -

연소우려 대상 인접 건축물의 구분 P의 값

◦학교, 주택, 문화재 등의 건축물 또는 공작물이 목조인 경우


◦학교, 주택, 문화재 등의 건축물 또는 공작물이 방화구조 또는 내화구조이고, 저장소에 0.04
면한 부분의 개구부에 방화문이 설치되지 아니한 경우

◦학교, 주택, 문화재 등의 건축물 또는 공작물이 방화구조인 경우


◦학교, 주택, 문화재 등의 건축물 또는 공작물이 방화구조 또는 내화구조이고, 저장소에 0.15
면한 부분의 개구부에 을종방화문이 설치된 경우

◦학교, 주택, 문화재 등의 건축물 또는 공작물이 방화구조 또는 내화구조이고, 저장소에



면한 부분의 개구부에 갑종방화문이 설치된 경우

라. “가” 내지 “다”에 의하여 산출한 수치가 2 미만일 때에는 높이를 2 m로 하고, 4 이상일 때
에는 벽의 높이를 4 m로 하되 다음의 소화설비를 보강하여야 한다.

(1) 당해 저장소가 대형소화기 설치 대상인 것에 있어서는 대형소화기를 1개 이상 증설할 것

(2) 당해 제조소등이 대형소화기 설치대상인 것에 있어서는 대형소화기 대신 옥내소화전설비ㆍ


옥외소화전설비ㆍ스프링클러설비ㆍ물분무소화설비ㆍ포소화설비ㆍ불활성가스소화설비ㆍ할로겐
화합물소화설비ㆍ분말소화설비 중 적응소화설비를 설치할 것

(3) 당해 제조소등이 옥내소화전설비ㆍ옥외소화전설비ㆍ스프링클러설비ㆍ물분무소화설비ㆍ포소


화설비ㆍ불활성가스소화설비ㆍ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또는 분말소화설비 설치대상인 것에 있어
서는 반경 30m마다 대형소화기 1개 이상을 증설할 것

1.3 방화상 유효한 벽의 길이는 제조소 등의 인접건축물에 면한 벽의 양끝을 중심으로 하고 4.1의


기준에 의한 안전거리를 반지름으로 한 각 외주선과 인접건축과 만나는 점을 이은 각 직선의 거리
로 한다.

ℓ1 = 2층 부분에 대응하는 담
ℓ2 = 1층 부분에 대응하는 담

1.4 방화상 유효한 벽은 저장소로부터 5 m 미만의 거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화구조로, 5 m 이상


의 거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불연재료로 하고, 저장소의 벽을 공용할 경우에는 그 벽을 내화구조로
하고 개구부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57
- KFS 210 -

부록 2 인접한 2개의 옥외탱크간 이격거리에 관한 NFPA 30의 기준

2.1 클래스 Ⅰ, 클래스 Ⅱ, 또는 클래스ⅢA의 안정한 액체를 저장하는 인접한 2개 탱크간의 이격거
리(측판과 측판간 거리를 말함)는 다음 표 2-1에 주어진 거리에 의해 분리되어야 한다.

[예외 1] 개별 탱크용량이 480 ㎘(126,000 gal; 3000 bbl)을 초과하지 않는 탱크들로 되어있고 제조시설 내에서
별도 분리되어 위치하고 있는 원유탱크군은 0.9 m(3 ft)이상 이격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예외 2] 오직 클래스 ⅢB 액체만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탱크군은 그 탱크들이 클래스 Ⅰ, 클래스 Ⅱ 액체


를 저장하는 탱크의 동일 방유제나 배출경로 범위 내에 있지 않다면 0.9 m(3 ft)이상 이격되어 이격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만약 클래스 ⅢB 액체를 저장하고 있는 탱크가 클래스 Ⅰ, 클래스 Ⅱ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와
동일 방유제나 배출경로 범위내에 있다면 표 2-1의 클래스 ⅢA 에 대한 요구조건에 따라 위치해야 한다.

표 2-1 최소 탱크 이격거리(측판과 측판간)

고정식탱크 또는 수평탱크
탱크 직경 플로팅루프 탱크 클래스Ⅰ또는
클래스 ⅢA 액체
클래스 Ⅱ 액체
인접탱크 직경 인접탱크 직경 인접탱크 직경
직경 45 m(150 ft) 이하의 합계의 1/6(단 0.9 m 합계의 1/6(단 0.9 m 합계의 1/6(단)
모든 탱크 (3 ft)보다 작으면 (3 ft)보다 작으면 0.9 m (3 ft)보다
안됨) 안됨) 작으면 안됨)
원격저유설비
직경 (2.5참조)가 인접탱크 직경 인접탱크 직경 인접탱크 직경
45 m 설치되어있는 합계의 1/6 합계의 1/4 합계의 1/6
(150 ft) 경우
초과하는 방유제(2.6참조)
인접탱크 직경 인접탱크 직경 인접탱크 직경
탱크 가 설치되어
합계의 1/4 합계의 1/3 합계의 1/4
있는 경우

2.2 불안정한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는 불안정한 액체 또는 Class I, Class II, or Class III 를 저장하
는 다른 액체와 직경의 합의 1/2 이상 이격되어야 한다.

2.3 클래스 Ⅰ, 클래스 Ⅱ액체를 수용하는 하나의 방유지역 내에 있거나, 클래스 Ⅰ, 클래스 Ⅱ액체
의 배출경로 안에 있는 탱크들의 경우와 3열 이상이나 비규칙적인 형태로 밀집되어 있는 탱크들의
경우에는 탱크들이 소화활동상 접근이 쉽게 배치하여야 한다.

2.4 LPG저장용기와 클래스 Ⅰ, 클래스 Ⅱ, 또는 클래스 ⅢA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사이의 최소 수


평이격거리는 6 m(20 ft) 이상이어야 한다. 인접한 LPG저장용기 아래에 클래스 Ⅰ, 클래스 Ⅱ, 또는
안정된 클래스 ⅢA 액체의 축적을 막기 위해 적절한 수단, 예를 들면 방유턱, 방유제 또는 구배 등
과 같은 수단이 취해져야 한다. 인화성액체와 가연성액체 저장탱크가 방유제 내에 있는 경우에는,
LP가스 저장용기는 그 방유제 바깥 벽으로부터 0.9 m(3 ft)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예외 1] 만일 클래스Ⅰ, 클래스Ⅱ 또는 클래스ⅢA 액체를 저장하는 하나의 탱크가 2.5 psi(17.2 ㎪)를 초과하

58
- KFS 210 -

는 압력에서 작동되거나 2.5 psi(17.2 ㎪)를 초과하는 압력을 허용하는 비상방출벤팅이 설비되어 있다면, 그 탱
크는 LP가스 컨테이너로부터 2.1(표 2-1)에서 주어진 거리만큼 이격시켜야 한다.

[예외 2] 480 ℓ(125 gal) 이하의 LP가스저장용기가 2,500 ℓ(660 gal)이하의 연료유공급탱크에 인접하여 설치
되어있는 곳에서는 2.4의 규정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2.5 원격 저유설비
유출에 대한 제어가 탱크 주변에서 원격 저유지역으로 배출에 의하는 경우에는 집유된 액체가 탱크
쪽으로 오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설비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탱크로부터 1 % 이상의 경사바닥이 저유지역쪽으로 15 m(50 ft) 이상의 거리를 두어 설치되어야 한
다.

(2) 저유지역의 용량은 가장 큰 탱크의 용량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예외] 충분한 개방지역이 없거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이 용량으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장소에서는 필요로
하는 용량의 몇 %에 해당하는 ‘부분 원격 집유’용량으로 탱크라든지 인접자산으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설치하
는 것이 허용된다. 필요로 하는 용량에서 ‘부분 원격 집유’용량을 뺀 나머지 용량은 2.6의 요구사항을 만족하
는 방유제로 보충 설비하여야 한다.

(3) 배출설비의 경로는 배출설비의 액체가 발화되었을 시, 탱크나 인접 소유재산이 화재에 심하게 노
출시키지 않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4) 저유지역의 경계면은, 가득 찼을 경우의 액면에서 부지경계선이나 탱크까지의 거리가 15 m(50


ft) 이상 이격되도록 하여 그 위치를 정하여야 한다. ‘부분 원격저유’가 사용되는 경우, 부분 저유지
역 내의 액위는 2.5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예외] ‘부분 원격저유’가 사용되는 경우, 부분 저유지역 내의 액위는 2.5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초과
용적은 설비되어진 방유제로 또는 2.6에 규정된 방식으로 저유에 필요한 용량을 보충시켜야 한다. 탱크간 이격
거리는 표 2-1의 ‘방유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근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2.6 방유제에 의한 탱크 주위에서의 저유


인접 시설물과 하수도의 방호설비가 탱크 주위 방유제에 의한 저유 방식인 경우에, 그 설비는 다음
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방유제 내부 바닥은 탱크로부터 1% 이상의 경사도가 15 m(50 ft) 이상 거리로 설치되게 하거나 또
는 방유제벽 기초부분까지 거리로 설치되게 하는 2가지 방식 중 짧은 쪽의 방식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2) 방유제 내부의 체적은 방유제 안에 있는 가장 큰 탱크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최대액량보다 작아


서는 안 된다. 탱크들에 의해 점유되는 체적을 고려하기 위해서, 둘 이상의 탱크를 둘러싸는 방유제
의 용량은, 방유제 최고높이 아래부분에 잠겨있는 가장 큰 탱크를 제외한 나머지 탱크들의 체적을
뺀 후의 용량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3) 접근로 확보를 위해, 방유제 바깥면으로부터 인접된 타 부지에서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는 구내
부지경계선까지 3 m(10 ft) 이상 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59
- KFS 210 -

(4) 방유제 벽은 액체가 흘러나가지 않도록 처리되고 가득 찬 유체 정역학적 수두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흙, 금속, 콘크리트, 또는 단단한 석재로 만들어져야 한다. 높이가 0.9 m(3 ft) 이상인 토벽은
그 상단에 너비가 0.6 m(2 ft) 이상인 평평한 부분을 만들어야 한다. 토벽의 경사는 벽이 축조된 재
료의 안정각에 조화되게 하여야 한다.

(5) 방유제의 벽은 내부지면 위로 평균 내부높이가 1.8 m(6 ft)로 제한되어야 한다.

[예외] 탱크, 밸브 및 다른 장치로의 통상적인 접근과 필요시 비상 접근 및 방유제로 둘러싸인 곳으로부터의


안전한 탈출을 위한 설비가 설치되어있는 경우와 다음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방유제가 내부 지반면
위로 평균 1.8 m(6 ft) 높이를 초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a) 클래스Ⅰ액체를 저장하는 방유제의 평균높이가 내부 지반면으로부터 3.6 m(12 ft) 이상인 장
소에서 또는 탱크 측판과 방유제 내벽간의 거리가 방유제 벽 높이보다 짧은 장소에서는, 사
람이 방유제 벽 최상단 높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서 밸브의 정상적인 조작과 탱크 지붕에
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b) 방유제 벽을 관통하는 배관은 부동침하의 결과로 생기는 과도한 하중이나 화재 노출을 방지
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c) 탱크 본체와 방유제 내벽 선단 사이의 거리는 최소 1.5 m(5 ft) 이상 되어야 한다.

(6) 2개 이상의 탱크가 있는 방유제는, 위험물 유출로 인해 방유제 안에 있는 인접탱크가 위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배출 수로나 도관에 의한 방식으로 또는 최소한 간막이둑에
의한 방식으로 해서 다음과 같이 세부 분할하여야 한다.

(a) 약한 지붕-측판 접합으로 건조된 수직 콘루프 탱크나 또는 플루팅 루프 탱크에 통상적으로


안정된 액체를 저장하는 곳에서나 또는 공정지역에서 어떤 형태의 탱크로든 원유를 저장하는
곳에서는, 1,600 ㎘(10,000 bbl)를 넘는 용량의 각 탱크는 하나씩 세부 분할해주어야 하고, 추
가하여 개별탱크 용량이 1,600 ㎘(10,000 bbl)이하로 구성된 합계용량 2,400 ㎘(15,000 bbl)를
넘지 않는 탱크군마다 세부 분할해주어야 한다.

(b) 수직 콘루프 탱크와 플루팅 루프 탱크 이외의 탱크 안에서 통상적으로 안정된 액체를 저장하
는 경우, 380 ㎘(2,400 bbl)를 초과하는 각 탱크는 하나씩 세부 분할해주어야 하고, 추가하여
개별 탱크 용량이 380 ㎘(2,400 bbl)이하로 구성된 합계용량이 570 ㎘(3,570 bbl)를 넘지 않는
개별 탱크군마다 세부 분할해 주어야 한다.

(c) 어떤 형태의 탱크에 저장하든 상관없이 불안정 액체를 저장하는 경우, 그 개별 탱크는 하나
씩 세부 분할해주어야 한다.

[예외] “NFPA 15, Standard for Water Spray Fixed Systems for Fire Protection”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배수
설비가 설치된 탱크

(d) 하나라도 직경이 45 m(150 ft)를 초과하면서 클래스Ⅰ액체를 저장하는 2개 이상의 탱크들이
하나의 공통 방유지역에 위치할 때는 언제든지, 탱크가 들어선 체적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탱
크용량의 적어도 10%를 둘러싸서 수용하게끔 인접한 탱크 사이에 간막이둑을 설치하여야 한
다.

60
- KFS 210 -

(e) 배출 수로나 도관 또는 간막이둑은 개별 탱크용량을 합당하게 고려하여 이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게 탱크들 사이에 위치를 정하여야 한다. 간막이둑을 이용하는 경우, 그
높이가 45 ㎝보다 낮아서는 안 된다.

(7) 방유제 내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설비가 되어있는 곳에서는, 그 배출수에 섞인 위험물이


배수구, 공공 하수도 또는 공공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식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그 배수설비는 화재상황 하에서도 방유제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접근하여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8) 가연성 물질, 비어 있거나 가득찬 드럼통이나 바렐통 등을 방유제 안에서 저장하는 것은 허용되
어서는 안 된다.

61
- KFS 210 -

부록 3 탱크 통기량 설계에 관한 NFPA 30의 기준

3.1 탱크의 정상적인 통기설비

(1) 저장탱크는 탱크에 채우거나 비울 때 또는 대기 온도 변화로 인하여 탱크의 정격압력을 초과하


거나 탱크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 또는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기되어야
한다.

(2) 정상적인 통기관은 관경이 가장 큰 주입 접속구 또는 이탈 접속구 직경 이상으로 커야하며, 명목


직경이 32 ㎜(1.25 in.)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3) 저압탱크와 압력용기는 탱크 또는 용기를 채우거나 비울 때 또는 대기온도가 변할 때, 탱크나 베


슬의 설계압력을 초과하게 하는 압력이나 진공으로 진전되는 것을 막기위해 적정하게 통기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아울러 펌프토출압력이 탱크나 베슬의 설계압력을 초과하게 될 수 있을 경우, 펌
프로부터 탱크나 압력용기로 충전되는 과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4) 만일 어떤 탱크와 압력용기가 하나 이상의 송입 접결구 또는 출하 접속구가 있어서 동시에 주입


또는 출하가 행해진다면, 통기장치의 크기는 예상되는 동시흐름의 최대량에 근거하여 정해야 한다.

(5) 게이지압 2.5 psi(17.2 ㎪)를 초과하는 압력이 허용되는 통기관이 장착된 탱크류, 저압탱크 및 압
력용기에 있어서는, 모든 통기장치 출구와 통기장치 드레인은 만일 통기관으로부터 나오는 증기가
인화되었을 때 탱크에 대해 국소적인 과열 또는 화염 침투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방출되도록 배열되
어져야 한다.

(6) 클래스ⅠA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와 압력용기는 압력과 진공조건에서 통기되어질 때를 제외하고


평상시에는 닫혀있는 통기설비를 장착하여야 한다.

(7) 클래스ⅠB와 클래스ⅠC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와 압력용기는 통기설비를 설치하거나 또는 화염방


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통기설비가 사용되어지는 경우, 압력과 진공조건에서 통기되어질 때를
제외하고는 평상시에는 닫혀있어야 한다.

(8) 화염방지장치 또는 통기설비는, 막힌 상태에서 이것이 사용될 때 탱크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클래스ⅠB 또는 클래스ⅠC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에 대해서 이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9) 원유를 처리하는 공정지역 안에 위치하면서 원유를 저장하는 477 ㎘(3,000 bbl) 이하인 탱크와
클래스ⅠA액체 이외를 수용하는 외곽(원유를 처리하는 공정지역 외곽) 지상에 위치한 3,800 ℓ(23.8
bbl; 1000 gal) 이하의 상압 탱크의 경우에는 무변통기관을 부착하는 것이 허용된다.

3.2 화재시 대비한 옥외탱크의 비상방출 통기설비

(1) 모든 옥외탱크는 화재노출로 야기된 과도한 내부압력을 방출하는 구조물 또는 장치 또는 설비의


형태로 된 비상방출 통기설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비상방출 통기설비의 설치는 여러 부분으로
분리된 탱크의 각 부분과 이중벽구조의 탱크 틈새공간 및 측판 둘레가 방벽으로 둘러싸여진 탱크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또한 1차 탱크벽으로부터 누설된 액체를 머금고 있어서 화재시 통기를 방해할

62
- KFS 210 -

수 있는 단열재, 멤브레인막 또는 빗물차단막 등과 같은 것에 의해 둘러싸여진 내부틈새나 공간부분


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예외] 45,306 ℓ 용량 이상이고 클래스Ⅰ 또는 클래스Ⅱ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방유제 지역 안에 있지 않거


나 또는 그 배출설비 경로상에 있지 않은 클래스ⅢB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에 대해서는 3.2(1)의 기준을 만족시
키지 않아도 된다.

(2) 수직형 탱크에 있어서, 3.2(1)에서 언급한 비상방출통기설비의 구조물로는 플로팅루프, 리프터루
프, 측판에 붙은 약한 지붕 접합, 기타 다른 승인된 압력방출구조물 등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허용된
다. 측판에 붙은 약한 지붕 접합부는 다른 접합부 보다 우선적으로 떨어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3) 비상방출통기설비의 기능을 전적으로 압력방출장치에 의존하는 경우에, 정상적인 통기량과 비상


방출 통기설비 2 개의 총 통기용량은 수직형의 경우에는 측판이나 탱크 바닥이 파열되지 않게, 수평
형의 경우에는 동체나 헤드가 파열되지 않게 충분히 크게 하여야 한다. 불안정 액체가 저장된 경우,
중합, 분해, 농축, 또는 자기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과 가스량을 고려해주어야 한다. 정상적인 통기와
비상방출 통기를 합한 전체 비상방출 통기용량은 아래의 표 3-1에 정해진 것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예외] 3.2의 (5)와 (6)에서처럼 설비가 되어진 경우

다음 (a), (b)의 요구조건도 또한 적용하여야 한다.

(a) 비상방출통기설비는 증기가 새지 않아야 하고 다음의 것 중에 하나가 되도록 한다.

① 자발적으로 닫히는 맨홀 덮개

② 내부에 압력이 있는 경우 뚜껑이 들어 올려지도록 긴 볼트가 설치된 맨홀 덮개

③ 부가적인 대형 방출밸브 또는 밸브

(b) 탱크의 액접면적(외부 지상 화재의 화염에 노츨될 것이 예상되는 액체와 접촉한 탱크의 내면
적이다)은 구형이나 타원체에 있어서는 전체 노출된 부분의 55%, 수평형탱크에 있어서는 전
체노출부분의 75%, 직사각형탱크에 있어서는 탱크의 최상단 지붕 표면적을 제외하고 노출된
측판과 바닥면부분의 100%를 기준으로, 수직탱크에 있어서는 탱크의 노출된 측판의 지면에서
위로 9 m(30 ft)까지 부분의 측판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4) 0.07 ㎏f/㎠(1 psi(6.9 ㎪))을 넘는 압력에서 작동하게 설계된 탱크 및 저장용기의 전체 비상방출
통기 용량은 표 3-1에 정해진 값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예외] 탱크의 액접면적이 260 ㎡(2,800 ft2)보다 큰 경우, 전체 비상방출통기 용량은 표 3-2에 정해진 값보다
작지 않게 하거나, 다음 공식에 의해서 계산된 값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통기필요량 = 1,107 A0.82 ······························································· (1)

여기에서 통기 필요량 = 단위시간당 공기량 [ft3/hr]


A = 노출된 액접 표면적 (ft2)

63
- KFS 210 -

표 3-1 액접면적 대 시간당 통기공기량* (ft3/hr)


[1 atm, 15.6 ℃[14.7 psi 및 60 ℉에서]

액접면적 단위시간당 통기 액접면적 단위시간당 통기 액접면적 단위시간당 통기


(ft2) 공기량(ft3/hr) (ft2) 공기량(ft3/hr) (ft2) 공기량(ft3/hr)

20 21,100 160 168,000 900 493,000


30 31,600 180 190,000 1,000 524,000
40 42,100 200 211,000 1,200 557,000
50 52,700 250 239,000 1,400 587,000
60 63,200 300 265,000 1,600 614,000
70 73,700 350 288,000 1,800 639,000
80 84,200 400 312,000 2,000 662,000
90 94,800 500 354,000 2,400 704,000
100 105,000 600 392,000 2,800 742,000
120 126,000 700 428,000 이상
140 147,000 800 462,000
SI 단위: 10 ft2 = 0.93 ㎡; 36 ft3 = 1.0 ㎥
*
내삽법에 의한 중간값임.

표 3-2 2,800 ft2 초과 액접면적, 1 psi 초과 압력에서의 통기 필요량

ft2 통기필요량 ft2 통기필요량

2,800 742,000 9,000 1,930,000


3,000 786,000 10,000 2,110,000
3,500 892,000 15,000 2,940,000
4,000 995,000 20,000 3,720,000
4,500 1,100,000 25,000 4,470,000
5,000 1,250,000 30,000 5,190,000
6,000 1,390,000 35,000 5,900,000
7,000 1,570,000 40,000 6,570,000
8,000 1,760,000

SI 단위: 10 ft2 = 0.93 ㎡; 36 ft3 = 1.0 ㎥

(5) 어떤 특정의 안정된 액체에 대해서는 전체 비상방출 통기용량을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하는 것


이 허용된다.

1, 337
단위시간당 통기공기량(ft3/hr) = V ············································ (2)
LM

여기에서, V = 표 1에 정해진 단위시간당 통기공기량(ft3/hr)


L = 특정 액체의 증발잠열(Btu/1 b)
M = 특정 액체의 분자량

64
- KFS 210 -

(6) 안정된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탱크에 있어서, 3.2의 (3),(4) 또는 (5)에 의하여 결정되어진 필요한
비상방출 통기용량은 다음과 같이 방호설비 별로 완화계수 중의 하나를 곱하는 것이 허용된다. 하나
의 탱크에 대해서는 다음 계수중 단지 하나만 사용하여야 한다.

(a) 부록2의 2.5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배출설비가 되어있고 액접면적이 18.6 ㎥(200 ft3)보다 큰
탱크에 대해서는 완화계수 0.5가 허용된다.

(b) 부록2의 2.5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배출설비가 되어있고, “NFPA 15, Standard for Water
Spray Fixed Systems for Fire Protection”에 의해 설치된 물분무설비로 방호된 탱크에 대해
서는 완화계수 0.3이 허용된다.

(c) 다음에 나오는 3.2(7)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단열재로 방호된 탱크에 대해서는 완화계수 0.3
이 허용된다.

(d) 다음에 나오는 3.2(7)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단열재로 덮여있고 부록2의 2.5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배출설비가 마련되어 있으며, “NFPA 15, Standard for Water Spray Fixed Systems
for Fire Protection”에 의해 설치된 물분무설비로 방호된 탱크에 대해서는 완화계수 0.15가
허용된다.

[예외 1] 연소열 및 연소속도가 에틸알콜과 같거나 적은 수용성 액체를 저장, 사용, 취급하는 경우 및 이러한
액체 외에 기타액체로부터의 잠재적인 화재노출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위의 계수에 추가적으로 50%를 감소할
수 있다. 이 추가완화를 받기위해 배출설비가 꼭 필요하지는 않다. 어떤 경우에도 3.2 (6) (a) 내지 (d)의 계수
를 0.15 이하보다 더 감소시켜서는 안 된다.

[예외 2] 연소열 및 연소속도가 에틸알콜과 같거나 적은 수용성 액체를 저장, 사용, 취급하는 경우 및 이러한
액체 외에 기타액체로부터의 잠재적인 화재노출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3.2(6)(a) 또는 (c)에 의해 정해진 비상방
출통기용량은 위의 계수에 추가적으로 50%를 감소할 수 있다. 물분무설비에 의한 방호에 대해서는 추가완화
가 허용되지 않는다. 이 추가완화를 받기위해 배출설비가 꼭 필요하지는 않다. 어떤 경우에도 위 3.2(6)(a) 내
지 (d)의 계수를 0.15 이하보다 더 감소시켜서는 안 된다.

(7) 3.2 (6)의 적용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단열설비는 다음의 실행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a) 화재노출 조건에서 제자리에 남아있어야 할 것

(b) 화재노출 중 호스방수에 의한 충격에 떨어지지 않고 견딜 것.

[예외] 이 조항은 봉상형 방수가 적절치 못하거나 실제적이지 못한 장소에서는 적용하지 않음.

(c) 외부 단열자켓 또는 덮개가 904.4 ℃(1660 ℉)일 때 및 단열재 평균온도가 537.8 ℃(1,000 ℉)
일 때 시간당 최대열전도율을 4.0 Btu(Btu/hr/ft2․℉)로 유지할 것

(8) 0.17 ㎏f/㎠(2.5 psig; 17.2 ㎪)를 초과하는 압력을 허용하는 비상배출통기설비가 장착된 탱크 위
에 있는 모든 통기설비와 통기드레인은 통기구로부터 나온 증기가 인화되었을 때 탱크의 국부적인
과열이나 화염과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방출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9) 각각의 탱크 통기장치 위에 개방시작압력과 밸브가 완전개방 위치에 있게 되는 완전개방압력이 각

65
- KFS 210 -

인되어있고, 또한 완전개방압력에서의 유량이 각인된 통기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통기장치의 유량은


1 기압(14.7 psia), 15.6 ℃(60 ℉)에서 단위시간당 공기체적(㎥/hr 또는 ft3/hr)으로 표현하고 있다.

(a) 명목치수가 200 ㎜(8 in.)미만인 탱크 통기장치의 유량은 실제적인 시험에 의하여 결정해야
한다. 이 시험은 자격있고 공평한 외부기관 또는 자격있고 공평한 인증기관에 의하여 공인된
제조업자에 의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b) 긴 볼트를 가진 맨홀 덮개를 포함하여 명목치수가 200 ㎜(8 in.) 이상인 탱크 통기장치의 유량은
시험 또는 계산에 의하여 결정해야 한다. 만일 계산에 의해 결정되어진다면, 개방압력은 시험에
의해서 측정되어야 하며, 정격구경과 정격압력에 적용된 흐름상수 0.5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되어
지며, 임의의 오리피스에 대해 그에 상당하는 면적을 정하여 그 명판에 “계산된”이란 단어를 새
겨 주어야 한다.

(10) 비상통기 배관의 확장

통기설비의 출구부분이 멀리까지 연장되어야 하는 경우에 통기설비와 배관의 크기가 확장되지 않는


다면, 심각한 통기유량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기설비와 그 배관설비는 화재시 탱크
내에서 과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그 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a) 상압저장탱크와 저압탱크에 있어서, 비상통기장치로 나오거나 들어가는 배관설비는 배압(방출


시 배출시스템의 압력에 기인한 릴리프장치의 출구에서의 압력)이 탱크설계압력보다 작게 제
한해 주는 비상통기유량이 되게끔 배관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b) 압력용기에 있어서, 비상통기장치로 나오거나 들어가는 배관설비는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에 따라서 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3.3 지하저장탱크의 정상적인 통기설비

(1) 통기용량
탱크통기시스템은 탱크가 채워지고 있을 때, 충전구에서 증기 또는 액체의 블로우백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용량으로 설비되어야 한다. 통기 배관은 표 3-3에 따라서 크기가 정해져야하지만 명목내경이
32 ㎜(1.25 in.)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탱크의 통기장치가 통기배관라인 안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는 그 유량이 3.2(9)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표 3-3 지하탱크 통기배관 직경

Maximum flow Pipe Length*


50 ft 100 ft 200 ft
(gpm) (in) (in) (in)
100 1 1/4 1 1/4 1 1/4
200 1 1/4 1 1/4 1 1/4
300 1 1/4 1 1/4 1 1/2
400 1 1/4 1 1/2 2
500 1 1/2 1 1/2 2
600 1 1/2 2 2
700 2 2 2
800 2 2 3
900 2 2 3
1,000 2 2 3

66
- KFS 210 -

SI 단위에서 , 1 in = 25 ㎜, 1 ft = 0.3 m, 1 gal = 3.8 ℓ


*
통기관 50 ft, 100 ft 및 200 ft 배관에 7개의 직각 밸브를 더한 길이

67

Potrebbero piacerti anche